매일신문

지선 'D-40'에도 더딘 공천 작업… '깜깜이 선거' 우려 목소리도

국힘 대구시당·경북도당, 이르면 주말 중 경선 후보 결정
민주당은 출마자 인물난에 돌파구 못 찾아

국민의힘 대구시당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은 주호영 의원(가운데)과 부위원장 김용판 의원(왼쪽), 김승수 의원(오른쪽)이 13일 시당 회의실에서 6.1 전국동시지방선거 공천 방침에 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국민의힘 대구시당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은 주호영 의원(가운데)과 부위원장 김용판 의원(왼쪽), 김승수 의원(오른쪽)이 13일 시당 회의실에서 6.1 전국동시지방선거 공천 방침에 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6·1 전국동시지방선거가 40일 앞으로 다가왔으나 대구 8개 구·군, 경북 23개 시·군의 기초단체장 등 후보자 윤곽이 드러나지 않아 유권자들의 혼란이 가중되는 모양새다.

대선 정국과 맞물려 최근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합당, 선거구 획정 등이 늦어진 여파로 공천 심사 절차가 지연되면서 유권자들의 알권리를 침해하는 '깜깜이 선거'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21일 국민의힘 대구시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공관위)는 지방선거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공천 신청자 면접을 대부분 마무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이르면 오는 23일 늦어도 다음 주 초 기초단체장 등 경선 후보를 모두 결정할 예정이라는 게 시당의 설명이다.

경선 후보가 결정되면 선거운동과 토론회 등에 일주일 정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오는 5월 초가 돼서야 최종 후보가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빠듯한 일정 속에 최근 선거구 획정 조정으로 인한 후보자 추가 공모와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합당에 따른 국민의당 소속 출마자들에 대한 후보자 추가 공모까지 받으면서 심사 기간은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또 앞서 대구시당 공관위가 현역 단체장 지지율이 해당 지역의 당 지지율 70%에 미치지 못할 경우 '마의 70%' 기준을 적용해 컷오프할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교체 지수 조사도 22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라 심사 기간은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전략공천설'도 고개를 들고 있어 유권자들의 혼란은 더욱 커지는 양상이다.

시당 관계자는 "여러 잣대들을 봐야 하고, 현역 교체지수 등을 종합판단해 경쟁력이 뛰어나고 월등하면 단수로 공천할 수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아직 교체지수 결과도 나오지 않았고 현재로선 모든 가능성이 열려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경북의 경우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국민의힘 경북도당에 따르면 도당은 기초단체장 등 공천 신청자 면접을 가까스로 마무리하고, 선거 40일 전에서야 본격적인 공관위 논의에 착수했다.

공천 심사가 촉박하게 진행되면서 모든 경선 지역의 토론회는 사실상 어려울 전망이다.

도당은 후보자로부터 정견발표 영상을 받아 당원선거인단에 전달하는 등의 방식으로 TV토론을 대체하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도당 관계자는 "금주 중 후보자를 발표해야 하고, 다음 주 경선 접수와 선거운동 등을 고려하면 기본 5일을 소요해야 한다. 현재로선 일정이 촉박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보수 텃밭'과 정권 교체 영향 속에 인물난이 여전해 고충이 큰 상황이다.

아직 출마자를 제대로 내놓지 못한 지역들도 상당해 '깜깜이 선거'로 전락할 우려가 나온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지난 지선과 비교하면 지금 시기에는 후보들이 어느 정도 결정돼 검증 작업과 선거 활동에 매진할 때"라며 "대선부터 합당 문제, 선거구 획정 등 각종 이슈들로 인해 지선 준비가 밀리면서 시도당 공천 작업이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