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권영세 "문재인 전 대통령 대북특사 임명? 충분히 검토할 만하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2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세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2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세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12일 문재인 전 대통령을 대북 특사로 임명하는 방안에 대해 "충분히 검토할 만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 후보자는 이날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만났던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윤석열 대통령이 대북 특사를 맡길 수 있겠느냐'는 취지의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혼자 결정할 수 있는 일은 아니기에 확답은 못한다"면서도 이같이 답했다.

태 의원은 "국제적으로 퇴임한 전직 총리나 수반, 대통령 등 원로를 현직 정부가 기후 변화나 중동 문제에 특사로 보내서 활용도 하고 미국은 클린턴, 카터 등 전직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해서 핵 위기를 중재하고 자기 국민들 데려오는 일정한 역할을 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도 "대한민국의 아쉬운 점은 역대 대통령 말로가 좋지 않았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길까 들여다보면 우리나라에서 보면 북한과의 기밀 접촉, 북한 방문은 대통령외 최측근이 하는 게 오랜 관행"이라며 "윤석열 정부에서는 이런 관행을 벗어나서 전직 대통령이나 반기문 사무총장 같은 원로들이 남북관계에서 일정한 역할을 해줘서 선진국의 정치 문화를 따라가야 하지 않나"라고 주장했다.

이에 권 후보자는 "우리가 자원도 별로 없고, 사람이 가장 중요한 나라다. 특히 여러 경험을 가진 분들, 계속해서 나라를 위해 봉사할 수 있는 분들을 제공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며 "남북관계에서도 다르지 않다. 전직 수반이나 수반급인 반기문 총장 등 남북관계 개선과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문 대통령 역시 지난 2월 연합뉴스 및 세계 7대 통신사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퇴임 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위해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처럼 방북 특사와 같은 역할을 요청받으면 수용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그때 가서 판단할 문제"라고 말해 가능성을 열어둔 바 있다.

또 문 대통령이 지난 4월 2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보낸 친서에서 "남북의 노력이 한반도 평화의 귀중한 동력으로 되살아날 것을 언제나 믿고 기다리겠다. 이제 평범한 국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가지만, 언제 어디에서든 한반도 평화를 위해 마음을 함께 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이 퇴임 후 대북특사 등의 역할도 맡을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기도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