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1844∼1900)는 대표작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통해 기존의 철학자들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주장을 펼쳐 나갔다. 소설 형식을 빌려 그 안에 등장하는 광인의 입을 통해 '신은 죽었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니체의 글은 '도발적'이라고 평가받는다.
니체의 말엔 반시대적 통찰이 가득하다. 기존의 진리를 전복시킬 수 있는 독창적인 생각은 때론 폭탄보다 더 파괴적이다. 망치를 든 철학자 니체는 근대 사상의 주춧돌과 같던 이성 중심의 가치 체계를 뒤집고 무너트렸다. 오랜 진리와 덕목을 허물고 철학의 여러 우상과 수동적인 허무주의를 깨부쉈다. 방황하는 청춘들이 지금도 니체에 이끌리고 또 그를 동경하는 이유도 그 때문일 것이다.
정작 니체를 안다는 것은 굉장히 지난한 일이다. 실제로 읽기 시작한 독자는 많아도 다 읽어낸 독자는 많지 않은, 어느 누구도 제대로 이해했다고 말하기 어려운 것이 바로 니체의 저서 아닌가. 상징과 비유, 패러디를 넘나들며 펼치는 수수께끼와 같은 가르침은 다가갈 수 없는 벽이자 불가해한 심연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 책은 시인‧비평가로 활동하고 있는 장석주 작가가 출간한 철학 에세이다. 장 작가는 본인이 읽은 최초이자 최고의 철학책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등을 빌려 니체 철학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철학을 통해 배우는 삶의 방식은 무엇인지를 안내한다. "니체 철학은 체화해내면서 음악같이 즐겨야 한다." 이 책은 니체의 서사와 철학, 시로부터 받는 느낌을 정리하고 해석하는 방식을 취했다. 저자의 표현을 빌리자면 니체 철학에 '마음이 감응한 내역'이다.
가난한 집 5남매의 장남으로 태어나 '가정 경제를 일으키는 대의에는 무관심'했다던 저자는 비루하며, 방황하는 젊은 날을 보냈다고 고백한다. 삶과 농담을 버무리고 아무 야심도 품지 않은 채 부유하던 청년은 어느날 우연히 접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평화가 아니라 승리를 갈망하라"는 문장을 읽고 정신이 번쩍 들었다고 한다.
왜 지금 우리는 니체를 읽어야 하는가. 저자는 그 이유를 100개 넘게 댈 수 있다고 자신하며, 그 중 가장 중요한 이유로 "니체의 철학은 우리 내면의 삶과 의지를 비춰볼 수 있는 거울"이라고 말한다. 이어 혼돈의 시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기의식으로서의 거울, 건강과 육체를 돌보는 자아로서의 거울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니체를 가리켜 '철학자를 넘어선 철학자'라고 말한다. 니체는 '위버멘쉬'(Übermensch‧초인), '권력에의 의지', '영원회귀' 등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철학적 개념을 창안하며 인식의 새로운 지평 위에 올라섰다.
니체는 그 유명한 '신의 죽음'을 선포하면서, 신으로 대변되는 기존 가치관과 통념에서 벗어나 자신이 스스로 생각하고 성찰하라고 말한다. 신이나 기존 가치에 의존하지 않고, 누구보다 생을 사랑하며 자신의 길을 당당하게 걸어가는 자가 초인이다.
다양한 병에 시달리며 산 니체는 평생 한곳에 머무르지 못한 채 여기저기 떠돌았다고 한다. 유럽의 고산 지대를 돌아다니기도 하고, 호수를 산책하거나 지중해 도시에 머무르기도 했다. 그는 절망 속에서도 삶을 기꺼이 끌어안았다.
'아모르 파티'(Amor fati). 니체를 대표하는 말 중 하나로 '네 운명을 사랑하라'는 뜻을 담고 있다. 삶이 만족스럽지 않거나 힘들더라도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다만 운명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자신에게 주어지는 고난과 어려움에 굴복하거나 체념하는 수동적인 삶의 태도를 의미하지 않는다. 니체의 아모르파티는 자신의 삶에서 일어나는 고난과 어려움까지도 받아들이는 적극적인 삶의 태도를 의미한다.
"웃는 법, 춤추는 법, 운명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고향을 떠나 사는 법, 고독을 견디는 법, 병(病)이라는 불안과 맞서 싸우는 법을 배우며, 괴물과 싸우면서 괴물이 되지 않는 법, 낙타처럼 순응하는 길은 거부하고 사자처럼 '아니오!'라고 말하는 법, 내면에 혼돈을 품고 어린아이처럼 순진무구한 놀이 속에서 삶을 긍정하고 기쁨을 얻는 법을 배웠다."
저자는 이 책을 세계와 불화하는 자들, 살아 있음의 불편함을 야윈 정신으로 버티는 자들, 변방으로 내쳐진 채로 길고양이처럼 하염없이 떠도는 자들을 위해 썼다. 인생의 불모성에 부딪혀 괴로워하는 이들에게 저자는 주저없이 니체 철학을 권한다. 세계와의 싸움에서 패배했지만, 그럼에도 삶에 대한 사랑을 포기할 수 없는 자에게 이 책은 한 움큼의 위로와 용기를 건넨다. 288쪽, 1만4천500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