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6·1 전국동시지방선거에도 어김없이 대구경북(TK) 전역에 '전과자 후보'들이 대거 출마한 것으로 파악됐다. 비율도 높아서 무려 후보자 10명 가운데 4명은 전과자였다. 사기, 음주, 근로기준법 위반, 폭행 등 분야를 가리지 않았다.
특히 이 가운데 집권 여당과 제1야당인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후보들도 많았다. 양당 모두 공천 과정에서 전과에 대해 엄정한 기준을 들이대겠다고 천명했지만 결국 '공염불'에 그쳤다는 비판이 나온다.
19일 매일신문이 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을 통해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한 TK 후보자 992명의 전과를 전수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가운데 43.2%에 이르는 429명이 최소 1건 이상의 전과를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대구시장·경북도지사와 구청장·시장·군수 등 단체장 후보 가운데서는 모두 39명이 전과를 보유했다.
대구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소속 류한국(서구청장)·윤석준(동구청장)·최재훈(달성군수) 등 세 명이 음주운전 전력이 있었다. 또 민주당 소속으로 남구청장에 출마한 최창희 후보는 사기 전과가, 전유진 달성군수 후보는 근로기준법 위반 전과가 있었다.
경북은 포항시장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유성찬 후보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지난 1994년 징역 3년 6개월형을 받았고, 역시 민주당 소속으로 경주시장에 출마한 한영태 후보는 절도와 명예훼손 등으로 벌금형 이력이 있었다.
구미시장은 국민의힘 김장호 후보가 2004년 음주운전 벌금형 이력이 있고, 무소속으로 출마한 김중천 후보는 지난 2010년과 2013년, 2015년에 걸쳐 음주운전으로 세 차례 적발돼 '쓰리아웃' 됐다.
지방의원은 상황이 더 심각했다. 대체로 음주나 사기, 공직선거법 위반 등이 많았으며 진보정당 후보들의 경우 운동 경력으로 인한 집시법 위반이나 교통방해 등이 다수였다.
광역의원은 대구가 39명의 후보자 중 15명(38.4%), 경북은 106명 중 58명(54.7%)이 전과자였다. 또 기초의원은 대구에서 184명의 구·군의원 후보 중 58명(31.5%)이 전과를 보유했고, 경북은 491명 중 243명(49.4%)이 전과 이력이 있었다.
광역의원 비례는 대구가 9명 중 2명, 경북은 13명 중 6명이 전과자였고 기초의원 비례에서는 대구 21명 중 3명, 경북 51명 중 5명 등이었다.
특히 울진에는 무려 '전과 10범' 후보가 등장, 유권자들의 비난이 쏟아졌다. 울진군의원에 도전한 국민의힘 김정희 후보는 음주와 무면허운전 등 8개의 도로교통법 위반 전과를 포함, 10개의 전과기록을 선관위에 등록했다. 1999년부터 2016년까지 17년에 걸쳐 상습적인 음주 및 무면허운전으로 벌금형을 받았다. 2건은 수질환경보전법과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받은 벌금형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