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의회, 의장 선출 '콘클라베'→'후보 등록제'로… 16일 4년 임기 마무리

콘클라베식 물밑 공방전 갈등 오가는 부작용
31년 만에 후보 등록 뒤 투표하는 방식 바꿔

9일 대구시의회에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당선된 대구시의회 의원들에게 지급할 배지가 정리돼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9일 대구시의회에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당선된 대구시의회 의원들에게 지급할 배지가 정리돼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대구시의회가 31년 만에 의장 선출 방식을 바꾸기로 했다. 의장선거 시즌이면 늘 의원들이 의장단 자리를 두고 물밑에서 이합집산하며 온갖 마타도어를 주고받는 등 깊은 갈등에 빠져야 했던 구조에 칼을 댄 것이다.

대구시의회는 지난 14일 운영위원회를 열고 회의규칙과 교섭단체 및 위원회 구성·운영 조례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에는 지금까지 교황 선출 방식(콘클라베식)으로 진행해왔던 의장 선출 절차를 보다 투명한 '후보 등록제'로 바꾸는 내용이 담겼다.

교황 선출 방식은 별도의 후보를 등록하지 않은 채 과반 지지를 받은 이가 나올 때까지 구성원들의 자유 투표를 계속하는 방식이다. 대구시의회는 지난 1991년 지방자치제 부활로 재개원한 뒤 현재까지 계속 의장단과 상임위원장 등 원내 주요 직책을 선출할 때 이 방식을 고수해왔다.

그러나 부작용이 컸다. 특히 후보 등록을 하지 않고서 과반의 중지가 모일 때까지 계속 투표를 했기 때문에 사전에 시의원들끼리 물밑 의사타진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과정에서 금전이 오갔다는 의혹이나 각종 흉흉한 소문을 두고 공방전이 오가는가 하면, 지지 후보에 따라 시의원들끼리 다툼이 벌어지는 등 볼썽사나운 모습이 자주 벌어졌었다.

대구시의회 본회의 모습. 시의회 제공
대구시의회 본회의 모습. 시의회 제공

다음달 1일 출범하는 새로운 시의회부터는 의장단과 상임위원장 등을 뽑을 때 먼저 도전자들이 선거일 이틀 전(상임위원장은 하루 전)에 후보로 등록해야 한다. 이후 후보자들이 선거 당일 동료 시의원들 앞에서 정견 발표를 한 뒤 투표를 통해 선출한다.

다른 지역에서는 이미 이 방식을 도입한 곳도 많다. 전국 243개 지방의회 중 등록제를 쓰는 곳은 절반 가까운 112곳에 이른다. 특히 전국 17개 시·도의회 중에서는 절반이 넘는 10곳(부산·인천·대전·울산·광주·세종·충북·전북·전남·경남)에서 이 방식으로 의장단을 선출한다.

이번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대구시의회는 다음달 4일로 예정된 9대 시의회 첫 집회에서 의장단을, 5~6일 상임위원회와 위원장을 구성한 뒤 7일에는 운영위원장을 선출하며 전반기 원 구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한편, 대구시의회는 16일 8대 시의회 마지막 본회의를 열고 4년 간의 임기를 모두 마무리한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제·개정 조례안 등 24건의 안건이 최종 의결될 방침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