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10원 더 싸요."
이마트는 신라면 5개입을 7일 현재 3천670원에 팔고 있다. 같은 날 3천680원에 팔고 있는 롯데마트·홈플러스·쿠팡(로켓배송)과 비교할 때 '10원' 더 싸지만, '업계 최저가'다. 코카콜라(1.8ℓ), 서울우유(1ℓ), CJ햇반(201g·12입) 등도 가격을 내렸다. 화장실용 방향제 페브리즈(2입)와 칫솔 메디안듀얼이팩션칫솔(5입)은 30~50% 정도 가격이 인하됐다. 이마트가 지난 4일부터 '40대 필수상품군'을 선정해 대표 상품을 '업계 최저가'로 팔겠다면서 생긴 변화다.
◆초저가 전쟁이 뭐길래
'초저가 전쟁'이 시작됐다. 물가 상승으로 지갑을 닫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 한 명의 손님이라도 붙잡으려는 유통업계의 시도다. 엔데믹(풍토병화) 이후 새롭게 촉발된 초저가 전쟁은 마트가 선언한 뒤 온라인 쇼핑몰과 편의점이 뒤이어 참전하는 모양새다.
업계 최저가의 포문을 연 건 이마트다. 이마트는 지난 4일 자료를 내고 '40대 필수상품군'을 선정해 대표 상품을 업계 최저가로 팔겠다고 했다. 40대 필수상품군은 우유·김치 등 가공식품 17개와 계란·양파 등 신선식품 7개, 화장지·비누 등 일상용품 16개로 이뤄졌다. 가격을 비교하는 업체 대상은 홈플러스와 롯데마트 온라인몰, 쿠팡 로켓배송이다.
호명된 유통업계들도 맞불을 놨다. 롯데마트는 '물가안정 TF'를 구성해 카테고리별 매출 상위 30%에 차지하는 생필품 500여 개 품목을 집중 관리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매주 신선·가공식품부터 주방용품의 가격 수준을 평가해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쿠팡은 '와우회원'(쿠팡 멤버십)을 대상으로 가전·생필품·패션·뷰티·식품 등 전 카테고리의 인기 상품을 골라 하루마다 특가로 내놓거나 선착순으로 팔겠다고 했다. 홈플러스는 이미 '물가안정 프로젝트'를 구성해 먹거리·생필품 등 상품군을 연중 할인에 나서고 있다.
◆고객 수요 높은 건 최저가만 팔린다
초저가 전쟁을 펼치는 이유는 고물가로 고객 수요가 높은 상품은 최저가만 팔리는 현상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명품이 많은 백화점은 "인플레이션이 오는 대로 백화점 매출은 뛰더라"고 말하는 반면, 60~70%가 식품으로 구성된 마트는 "마감 30분~1시간 전 파격 세일하는 식품코너에 몰리는 소비자들이 부쩍 늘었다"고 설명한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5월 대구 지역 백화점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6.3% 증가했지만 대형마트 판매는 8.4% 감소했다.
이마트는 코로나 위기감이 고조됐던 작년에도 전년 대비 33.1% 늘어난 3천156억원의 영업이익을 봤다. 하지만 최근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대신증권은 최근 이마트의 2분기 영업적자가 161억원으로, 적자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계절적 비수기와 온라인 플랫폼 마케팅 경쟁 등 영향이 이유다. 세계 최대 유통기업인 미국 월마트는 지난 1분기 국내외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2%, 35.3% 감소하면서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편의점도 저렴할 수 있다
최근 초저가 전쟁은 편의점도 참전하는 모양새다. 세븐일레븐은 지난달 30일 초저가 상품 브랜드 '굿민'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1차로 달걀·삼겹살·두부 등 신선식품 5종을 선보이면서, 수입 냉동 삼겹살(500g) 2종은 9천900원, 두부(300g)는 1천200원에 내놨다. 두부를 1천300~2천원에 파는 대형마트와도 가격경쟁력에서 뒤처지지 않는 수준이다.

GS25도 지난달 GS수퍼의 초저가 PB상품 브랜드인 '리얼프라이스'를 편의점에 들였다. 70여 곳 업체와 함께 300여 개 상품을 선보이면서 키친타올·위생팩 등을 20% 정도 저렴하게 판다. 이마트24는 PB상품 브랜드 '민생시리즈'를 내놓으면서 저가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500원도 하지 않은 컵라면이나 300원짜리 김 등이 대표적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식품·생필품 위주의 초저가 전쟁은 10~100원 차이를 두고 다투다 단기간에 끝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플레이션으로 유통업을 유지하기 위한 임금·에너지 등 비용이 증가하면서, 대폭적인 할인을 하거나 긴 시간 저가 전쟁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할인을 위해 납품업체 상품의 단가를 과도하게 깎는 방식은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을 내세우는 시대에 적용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