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강공 기자회견'을 두고 당내 일각에서 '결별 불가피론'이 감지되면서 '한 지붕 두 가족'의 불안한 동거가 계속될지 관심사로 부상했다.
이 대표는 지난주 기자회견을 통해 "조직에 충성하는 국민의힘도 불태워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핵관들을 겨냥해서는 "모든 무리수를 동원하던 민주당의 모습과 데칼코마니 같다"고 공격했다.
이 전 대표는 또 2천500여명의 지지모임(국민의힘 바로세우기)을 등에 업고, 떨어진 지지율을 끌어 올리려 출범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주호영 위원장)를 상대로 비대위 전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기도 했다. 서울남부지법은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째인 오는 17일, 가처분 심문기일을 진행한다.
이를 두고 당내 일각에서는 이 대표가 '이제는 건널 수 없는 강을 스스로 건넌 것 아니냐'며 푸념 섞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0.73% 포인트 차이로 가까스로 대선에서 이긴지 100일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국정 운영 동반자인 여당 유력 인사가 오히려 정권의 발목을 잡는 최전선에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 매우 우려스럽기 때문이다. '동반 추락을 지켜보는 것 보다는 이쯤에서 결별을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감지된다.
이 대표와의 동행을 동반 추락으로 보는 이들은 현대 정당사를 근거로 제시한다.
3당 합당을 통해 정권을 교체한 노태우 전 대통령이 당시 민자당 수장인 김영삼 대표에게 집중 견제 당하면서 임기 내내 주요 정책과 국정에 발목 잡힌 바 있다. 또 이명박·박근혜 정부 탄생 후에도 친박과 친이 세력이 서로 다른 정권하에서 사사건건 부딪혀 정권 말까지 온전한 국정상을 만들어 내지 못한 전례도 있다. 그 결과 두 전직 대통령 결말도 매끄럽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정치사를 살펴볼 때 이준석 파문은 서로 공멸하는 결말로 끝날 것이 불 보듯 뻔하다"며 "이제 100일도 안된 신생 정권이 자신의 색깔을 띠고 책임 있는 국정 자세로 바로 서려면 든든한 후방 세력이 있어야 하고 그게 현실적으로 안 된다면 교체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의 말처럼 결별설에는 '100일도 안된 정권이 힘도 한번 제대로 써 보지도 못하고 자폭해서는 안 된다'는 우려감이 배어 있다. 동시에 낮은 지지율이 첫 시험대에 오른 신생 정권의 새로운 디딤판이 될 수 있다는 희망감도 포함된 것으로 해석된다.
국민의힘 소속 한 의원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취임 100일 지지율도 21%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반등하면서 국정과 주요 정책들을 임기 동안 훌륭하게 소화해 낸 바 있다"며 "윤석열 정부는 이제 더 떨어질 곳도 없다. 현 정권과 국정철학을 공유하는 세력들이 협력해 죽기를 각오하고 국민들에게 다가간다면 지지율 반등은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