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권당이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가운데 대표직에서 밀려 난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과 당내 '윤핵관'(윤석열 대통령측 핵심관계자)'들을 직접 겨냥한 기자회견을 통해 반격을 시도함에 따라 여권 전반에 전운이 감돌고 있다.
당장 이 전 대표가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상대로 제기한 비대위 출범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에 대한 법원의 심리가 17일로 예정돼 있어 긴장감이 더욱 증폭되는 분위기다.
정치권에선 이 전 대표가 소송전에 더해 여론전까지 예고하고 있어 여당의 내홍은 더욱 격렬해 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지난 13일 사전 예고한 기자회견에서 현 정부 출범 석 달 만에 벌어진 여권의 위기 상황에 대한 책임론을 제기하고 윤 대통령과 함께 당 소속 의원 6명을 실명으로 비판했다.
구체적으로 권성동 원내대표와 장제원·이철규 의원을 '윤핵관', 정진석 국회부의장과 김정재(경북 포항 북구)·박수영 의원을 '윤핵관 호소인'으로 각각 지목하며 "끝까지 싸우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특히 이 전 대표는 윤 대통령이 지난 대선 과정에서 자신에 대해 '거친 언사'를 했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는 등 '폭로성 주장'을 쏟아내기도 했다.
당 관계자는 "기자회견에 임한 이 전 대표의 태도는 전면전을 선언한 선전포고였다"며 "역대 여당 대표들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스피커'(언론 연결고리)를 보유한 이 전 대표의 공세에 대한 여론의 평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저는 그들과 끝까지 싸울 것이고 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방식으로 가려고 한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이 전 대표가 낸 가처분신청에 대한 심리를 진행하는 오는 17일 당 분위기가 한 차례 술렁일 전망이다. 인용될 경우 비대위 출범에 급제동이 걸리는 것은 물론 여권이 대혼돈으로 빠져들 것으로 예상된다.
반대로 기각되면 '주호영 비대위'가 일단 예정대로 첫발을 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대표가 전면전을 선언한 만큼 이 경우에도 '이준석 리스크'를 안고 '불안한 출발'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한때 비대위 합류설이 제기됐던 김성원 의원이 수해 봉사활동 현장에서의 실언으로 물의를 빚으면서 당이 더욱 수세로 몰리는 분위기다.
지역의 한 초선의원은 "이 전 대표의 가치는 국민의힘이 쇄신해야 할 모습을 보일 때 더욱 빛을 발한다"며 "이 전 대표의 '연장전' 시도를 당이 도와주는 꼴을 연출해선 곤란하다"고 말했다.
여권 전반에 전운이 감돌면서 사태의 조기 수습을 위해 윤 대통령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주문이 나오고 있다. 취임 100일을 맞은 윤 대통령에게 집안 단속부터 제대로 하라는 핀잔이 줄을 잇고 있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