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동기 대구가톨릭대 총장이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에 위촉됐다. 우 위원장은 대통령 직속 지방이양추진실무위원, 중앙인사위원회 인사정책자문위원 등을 맡은 바 있고, 국토연구원 및 서울연구원에서 국토균형발전을 연구한 만큼 균발위에서 큰 성과를 내리라는 기대가 크다. 특히 지역 발전과 지방 대학 발전이 뗄 수 없는 관계라는 점에서 영남대 총장, 대구가톨릭대 총장, 대구시 교육감을 역임한 그가 교육과 국토균형발전을 잘 연결해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2021년 균형발전위원회가 발표한 '2017~2019' 전국 평균 재정 자립도는 53.8%로 이전 조사에 비해 1.30%포인트 떨어졌다. 서울(85.4%), 경기(69.6%), 인천(65.1%), 세종(69.9%), 울산(61.6%)을 제외한 타 시도는 30~50%대를 기록했다. 경북의 3개 연도 평균 재정 자립도는 33.4%에 불과했다.(대구는 56.6%) 각 시도의 혁신 역량을 나타내는 전국 지역발전지수 역시 서울, 경기, 충청은 높은 반면 타 시도는 상당히 낮다. 전국적 불균형이 심각한 것이다.
국가균형발전위에는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을 비롯해 국토부 장관, 과기부 장관 등 대다수 정부 부처 장관들이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협력을 통해 얼마든지 많은 일을 해낼 수 있다. 그럼에도 문재인 정부의 균발위는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정부 내 균발위 발언권이 약했고, 무엇보다 문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의지가 약했다.
윤석열 정부는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국정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 신임 위원장의 전문성과 정부 내 영향력도 유리한 면이다. 중앙과 지방의 수평적 균형발전, 지방 도시 고유의 특성을 살리는 동시에 지역 주도로 균형발전을 이끌어 낼 기반 강화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당면한 2차 공공기관 이전과 지방 대학 생존을 위한 정책에서부터 신임 우 위원장의 경험과 지혜가 빛을 발해 성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