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분 종합부동산세(종부세)는 4조4천여억원으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났다. 특히 증가분의 대부분은 다주택자와 법인이 부담하면서 1세대 1주택자가 전체 종부세 증가분에서 차지한 비중은 3.8%에 그쳤다.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2021년 주택분 종부세 백분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분 종부세는 4조4천85억원으로 2020년과 비교해 2조9천495억원(20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체 종부세 총액을 종부세 납세자 수로 나눈 1인당 세액은 평균 473만원으로 전년(273만원)보다 200만원 늘었다.
또 1세대 1주택자 가운데 세액 기준 하위 50% 구간에 속한 인원은 7만6천551명으로 이들이 부담한 종부세는 평균 23만원에 불과했다. 하위 20%의 평균 세액은 6만9천원, 하위 10%의 평균 세액은 2만6천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주택 공시가를 기준으로 살펴보더라도 14억원 이하의 평균 세액은 24만2천원이었다. 공시가 14억원은 시가 20억원에 해당한다.
이 같은 자료를 바탕으로 고용진 의원 측은 '종부세 폭탄론'은 과도하게 부풀려졌다고 주장했다.
작년 1주택 재산세 평균은 36만3786원으로 종부세 폭탄과는 거리가 멀다고 고용진 의원은 주장했다.
고 의원은 "1주택 종부세 납세자의 절반인 하위 50%는 연간 20만원대의 종부세를 내고 있으며, 종부세 납세자 중 상위 10%가 전체 종부세의 70%가량을 부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1주택자 가운데 공시가 19억원 미만 하위 80%(12만2483명)는 평균 53만5천원을 부담해 하위 80%의 평균값은 전체 1주택자 중간값인 55만5천원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오히려 상위 1%가 납부한 종부세는 1조4천108억원으로 전체 세액의 31.8%에 달했다. 상위 10%로 확대하면 이들이 부담한 세액은 68.2%로 늘어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