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9월 경상수지 16억1천만달러…한 달만 흑자 전환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부산항에 쌓인 컨테이너. 연합뉴스
부산항에 쌓인 컨테이너. 연합뉴스

9월 경상수지가 한 달 만에 16억1천만달러(약 2조2천321억원)로 흑자 전환했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9월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6억1천만달러로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 8월 30억5천만달러(약 4조2천288억원) 적자 이후 한 달 만에 흑자로 전환된 것이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흑자 규모가 88억9천만달러(약 12조3천268억원) 줄었다.

올해 1~9월 누적 경상수지는 241억4천만달러(약 33조4천604억원) 흑자를 기록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흑자 폭은 432억7천만달러(약 59조9천592억원) 축소됐다.

국내 경상수지는 2020년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23개월 연속 흑자로 이어지다가, 4월 수입이 급증하고 해외 배당이 겹치면서 2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이후 5월 다시 흑자로 전환하고 3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하다가 8월 다시 30억5천만달러(약 4조2천251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는 상품수지가 4억9천만달러(약 6천791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전년 동월이 95억5천만달러(약 13조2천429억원)였던 것에 비해 흑자액이 90억6천만달러(약 12조5천616억원)로 감소했다.

우선 수출(570억9천만달러·약 79조2천523억원)이 지난해 9월보다 0.7%(4억2천만달러·약 5천827억원)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 이는 2020년 10월(-3.5%) 이후 23개월 만의 첫 감소다.

반면 수입(565억9천만달러·약 78조5천186억원)은 전년보다 18%(86억3천만달러·약 11조9천741억원) 늘었다. 통관 기준 원자재 수입액이 전년 동월 대비 25.3%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운송수지 흑자 폭이 줄어든 영향을 받아 3억4천만달러(약 4천717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적자 폭이 2억8천만달러(약 3천884억원) 커졌다. 여행수지 적자도 4억8천만달러(약 6천659억원)에서 5억4천만달러(약 7천491억원)로 늘었다. 코로나19 재유행이 잦아들면서 방역이 완화된 영향을 받았다.

본원소득수지 흑자 규모는 배당수입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11억3천만달러(약 1조5천673억원)에서 18억4천만달러(약 2조 5천520억원)로 7억1천만달러(약 9천847억원) 늘었다. 배당소득수지는 흑자 규모는 12억2천만달러(약 1조6천918억원)를 기록해 1년 만에 약 8억달러(약 1조1천94억원) 증가했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9월 중 45억9천만달러(약 6조3천644억원)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47억8천만달러(약 6조6천279억원),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4억7천만달러(약 6천516억원) 증가했다. 증권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5억달러(약 6천932억원) 줄었고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14억9천만달러(약 1조9천419억원) 늘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