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푸르밀 기사회생할까…노사 '30% 감원안' 합의

사측의 일방적인 사업종료와 정리해고 통보로 논란에 휩싸였던 푸르밀 노사가
사측의 일방적인 사업종료와 정리해고 통보로 논란에 휩싸였던 푸르밀 노사가 '30% 감원안'에 합의했다. 현재 푸르밀 노조와 실무진 논의는 이뤄진 상태로 경영진 결정만이 남았다. 31일 오후 사업종료를 놓고 노사간의 2차 교섭이 열린 서울 영등포구 유제품 기업 푸르밀 본사의 간판의 모습. 연합뉴스

사측의 일방적인 사업종료와 정리해고 통보로 논란에 휩싸였던 푸르밀 노사가 '30% 감원안'에 합의했다. 현재 푸르밀 노조와 실무진 논의는 이뤄진 상태로 경영진 결정만이 남았다.

8일 푸르밀 노조에 따르면 이날 전주공장에서 푸르밀 부장급 3명과 교섭을 진행한 결과 30% 인원 감축에 일단 의견을 모았다.

지난 4일 열린 3차 교섭에서 푸르밀 노조는 사측에 30% 구조조정을 조건으로 회사 매각 추진을 제안했는데, 실무진이 노조의 의견을 재확인하고 이를 경영진에 보고하기로 했다.

신동환 대표는 지난 1∼3차 교섭에 나왔지만, 이날은 참석하지 않았다. 경영진은 자금대책, 보상안 등을 고려해 추후 공식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교섭 직후인 이날 오후 1시께 "갑작스러운 교섭을 했고 '인원감축 30%'에 합의했다. (회사를) 매각할 수도 있고, 자체 운영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교섭을 진행한 회사 실무진 측에서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하자 노조는 오후 2시40분께 다시 "(실무진이)'보고하겠다'는 취지였다고 한다. 서로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며 앞선 발표 내용을 정정했다.

앞서 푸르밀 경영진은 이달 30일 자로 사업을 종료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정리 해고를 통지하면서 직원들과 갈등을 빚어왔다.

직원들은 사측이 무능·무책임 경영으로 일관했다며 비난하고 있고 이 회사에 40여 년간 원유를 공급해 온 농가들도 생계가 막막해졌다며 상경 집회를 벌이는 등 반발해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