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지역의 연구중심의과대학 설립을 위해 정부 부처와 경북도, 포항시가 공감대를 형성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보건복지부와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경북도, 포항시는 21일 포스텍 본관 대회의실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의사과학자 양성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에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과 이강덕 포항시장, 김학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김병욱 국회의원, 김무환 포스텍 총장을 비롯해 보건복지부 이형훈 보건의료정책관, 서일환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 등 주요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한민국 의사과학자 양성에 대한 심도있는 의견을 나눴다.
의사과학자란 의사면허(M.D)와 박사학위(PhD)를 소지·취득해 환자를 진료하는 임상의사이면서 동시에 이·공학 분야의 기초연구를 함께 수행하는 연구자를 말한다. 의학과 이·공학의 가교역할을 하는 연구자인 셈이다.
간담회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져온 비대면 플랫폼 활성화,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 등 사회 전반에 대한 많은 변화들에 대해 언급하며, 특히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위해 새로운 형태의 의학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의사과학자 양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에 모든 참석자가 공통적으로 공감했다.
또한 나날이 확장되고 있는 글로벌 바이오 헬스산업 시장 선점을 위해서라도 범국가적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의사과학자를 양성해야 한다는 당위성에 함께 동의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코로나19를 겪으며 바이오헬스 시장이 확대되고 기술개발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이를 선도할 의사과학자 양성이 중요한 국가 과제"라면서 "우수한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해 임상과 기초과학, 공학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 생태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포항시는 준비된 의사과학자 양성도시로서 ▷탄탄한 바이오 인프라 ▷끈끈한 지역의료계와의 유대관계 ▷국가균형발전 문제해결 등 3대 요건을 내세우며 연구중심의대 설립의 최적지임을 적극 설명했다.
아울러 안정적인 연구비 수주 등 연구의사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가차원의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포스텍 연구중심의대 설립을 위한 의사정원 확대도 건의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의 강점인 바이오산업 인프라를 토대로 지역주도 과학기술 주권시대를 만들어 대한민국 국가균형발전의 신모델을 제시하겠다"며 "기업 투자유치 및 시민참여를 통해 '포스텍 연구중심의대' 설립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포스텍 '연구중심의대'는 세계 최초 공학기반인 일리노이의대 커리큘럼을 도입해 의과학전문대학원 형태(MD-PhD 8년·복합학위 과정(2+4+2))로 운영될 예정이다. 덧붙여 스마트병원(500병상), 의과학 융합연구센터 건립도 함께 추진 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판사가 법 아닌 정치에 휘둘려…법치 죽고 양심이 사라졌다"
되풀이 되는 대통령 수난사…정치권에서는 개헌 목소리 커져
[단독] 영 김 美 하원의원 "탄핵 주도 세력은 한반도에 큰 재앙 초래할 것"
尹, 옥중 메시지 "분노 이해하나 평화적 방법으로"
[한국정치 대전환] 87년 체제 대통령제 수명 다해…시대적 과제로 떠오른 '개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