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강원 양양군에서 40년이 넘은 노후화된 헬기가 추락해 5명이 사망한 가운데 대구경북에서 사용되는 산불 진화용 헬기 역시 노후도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주기적이고 상세한 점검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29일 대구시와 경북도 등에 따르면 동구청, 수성구청, 달성군청은 산불진화용 임차 헬기 각 1대씩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각각 지난 1978년, 1979년, 1993년에 제작된 헬기로 연식이 최소 29년부터 최대 44년에 이른다.
경북도는 모두 17대의 임차 헬기를 운용하고 있다. 제작 시기는 ▷1970년대 6대 ▷1980년대 5대 ▷1990년대 3대 ▷2000년대 3대 등이다. 가장 오래된 헬기는 지난 1974년 생산된 헬기 2대로 포항시와 상주·문경시에서 운용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 생산된 헬기도 지난 2003년 생산한 기종이다. 안동시, 영주시, 의성·청송군이 사용한다.
법적으로 헬기의 수명이 따로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항공업계는 정비 비용과 가동률 등을 감안할 때 교체 주기를 20~25년으로 보고 있다. 대구경북 임차 헬기 20대 가운데 17대(85%)가 교체 주기를 넘어선 것이다. 양양군에서 추락한 헬기 역시 양양·속초·고성 등 3개 지자체가 민간업체로부터 임차해 운용하는 임차 헬기였고 지난 1975년에 제작되어 연식이 47년이나 됐다.
지자체가 임차 헬기 관리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헬기를 빌려준 민간업체에 한 해 141억원이 넘는 돈을 지불하고도 이를 관리·감독할 권한과 전문성이 없기 때문이다. 올해 대구시와 경북도가 민간업체에게 준 임차 헬기 사업비는 헬기 대여비, 운용비, 정비비 등 각 19억원과 122억원이다.
대구 각 구·군청 관계자는 "민간업체가 가이드라인에 맞춰 헬기를 점검하고 매년 국토부가 이를 검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각 지자체에는 헬기관리 전문가가 없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고 털어놨다.
국토교통부는 매년 국내 전 헬기를 대상으로 '감항검사'를 공통적으로 진행한다. 감항검사는 헬기의 전반적인 상태를 모두 점검해 운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검사다. 관련 법령에 따라 1년에 1번 모든 헬기에 대해 검사하고 불합격한 기종은 재검사에 합격해야 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헬기는 미국, 러시아, 프랑스 등 제조국이 다양하고 제조사가 정한 점검 기준도 다르기 때문에 기체 종류별 운항 거리, 시간 등에 따라 주기적이고 상세한 점검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철 한서대학교 헬리콥터조종학과 부교수는 "헬기는 적절한 점검과 부품 교체만 잘 이뤄진다면 연식이 오래됐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다"며 "헬기는 셀 수 없이도 많은 부품으로 이뤄져 있고, 한 번의 사고가 많은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주기적이면서도 철저한 안전 점검이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