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상화 본격화?" 北서 김정은 딸 '주애' 이름도 못쓴다…동명이인 개명 움직임



조선중앙TV는 9일 전날 밤 열린 인민군 창건일(건군절) 75주년 기념 열병식을 녹화중계했다. 사진은 열병식 본행사에서 딸 김주애가 아버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얼굴을 만지자 흡족해 하는 모습.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조선중앙TV는 9일 전날 밤 열린 인민군 창건일(건군절) 75주년 기념 열병식을 녹화중계했다. 사진은 열병식 본행사 시작 전 내부 연회실에서 김주애가 아버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얼굴을 만지는 모습.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북한이 건군절(인민군 창건일) 75주년인 지난 8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병식을 개최하는 영상을 조선중앙TV가 9일 방송했다. 사진은 열병식장을 퇴장하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김주애의 손을 꼭 잡고 만족해하며 위 아래로 흔드는 모습 포착.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북한이 건군절(인민군 창건일) 75주년인 지난 8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병식을 개최하는 영상을 조선중앙TV가 9일 방송했다. 사진은 김정은 위원장 뒤의 딸 김주애 집중 조명하는 카메라 장면.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북한 열병식을 기점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둘째 딸 주애의 '후계자설'이 재점화된 가운데, 북한당국이 동명이인들에게 개명을 강요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g)은 북한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당국이 김정은 총비서의 딸 김주애의 우상화에 나선 가운데,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들에게 개명을 강요하고 있어 주민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 각 지역의 안전부는 '주애'라는 이름으로 주민등록이 된 여성들에게 이름을 고치도록 강요한 사례가 여럿 나왔다.

북한에서는 주민들이 '일성' '정일' '정은' 등의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통은 "당국이 '주애'라는 이름을 전부 조사하고 개명하도록 강제하는 것은 최고존엄의 '존귀하신 자제분'으로 선전되고 있는 딸의 이름이 '주애'이기 때문에 동명인을 없애라는 내적 지시가 내려왔다고 안전부 간부가 말해 주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최고존엄의 딸 주애가 텔레비전에서 '존귀하신 자제분'에서 '존경하는 자제분'이라고 선전되더니 '주애'라는 이름마저 일반 주민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통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김주애는 8일 밤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조선인민군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 김 위원장, 리설주와 함께 참석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검은색 모자와 코트 차림의 김주애는 김 위원장의 손을 잡고 레드카펫 위를 걸어 행사장에 들어왔다. 둘의 한 걸음 정도 뒤에 리설주가 함께했으며, 그 뒤로 간부들이 손뼉을 치며 따르는 모습이었다.

특히 조선중앙TV가 공개한 열병식 영상에서는 김주애는 최고지도자인 아버지의 얼굴을 스스럼없이 만지는 등 '백두혈통'의 지위를 과시하는 장면이 여러 차례 노출됐다.

장병들이 행진하며 "백두혈통 결사옹위!"라고 반복해 외치는 것을 김주애가 내려다보는 장면도 있었다.

조선중앙통신은 보도에서 조용원 조직비서와 리일환·김재룡·전현철 당 중앙위 비서들이 "존경하는 자제분을 모시고 귀빈석이 자리잡았다"고도 전해 이번 보도에서 '사랑하는'과 '존경하는' 수식어를 모두 사용했다.

통신은 작년 11월 김주애를 최초로 소개할 당시 "사랑하는 자제분"이라 언급했고 두 번째 자리에선 "존귀하신 자제분"이라고 불렀으며, 7일 행사에 대한 보도에선 "존경하는"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높아진 위상을 드러낸 바 있다.

김주애는 지난해 11월 18일 ICBM '화성-17형' 발사 현장에서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뒤 총 4차례 군 관련 행사에 참석해 주목을 받았으며, 일각에서는 김주애 후계자설까지 제기됐다.

통일부는 북한이 부쩍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를 부각하는 것과 관련, "후계구도는 이른 감이 있지만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