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대표 명산 중 하나인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하면 관광객 유입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이 나누던 관리체계를 정부로 일원화해 효율성이 커지고, 생태와 자연보호 효과도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12일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팔공산은 지난 1980년 도립공원에 지정됐다.
이듬해 경상북도 산하에 있던 대구시가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경북도로부터 분리됐다. 이에 팔공산 전체 면적 125.345㎢의 72%는 경북도 관할 지역에, 나머지 28%는 대구시 관할 지역에 분포하면서 두 광역단체가 이곳을 나눠 맡아 왔다.
광역단체 두 곳이 도립공원을 함께 관리하다 보니 효율성이 현저히 낮아졌다. 공원관리사무소 운영, 탐방로 구획 및 관리, 자연 및 생태 보존, 산불 등 재난 예방·대응 등에서 두 광역단체 정책이나 속도가 엇박자를 낼 수밖에 없었다.


팔공산의 국립공원 승격은 이런 불편을 덜고자 두 광역자체가 뜻 모아 내놓은 것이다.
국립공원이 되면 정부 예산으로 탐방로와 체육시설, 휴게시설, 조명시설 등을 설치, 관리할 수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국립공원 한 곳 당 연 180억 원(현재는 경북도·대구시 연 90억 원)의 관리비용과 140명의 인력을 지원한다. 이는 지방재정 지출 부담을 덜어내는 효과로 이어진다.
지난 9일 환경부가 내놓은 팔공산 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 계획안에 따르면 국립공원관리공단은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시 전체 125.345㎢ 범위를 지정할 방침이다. 이는 전국 22개 국립공원 중 14번째로 큰 규모다.
현재 면적 대비 0.114㎢ 늘리고, 공원가치를 상실한 사유지 1.023㎢는 구획에서 해제한다. 반대로 공원가치가 인정되는 국·공유지 및 사찰지 1.137㎢를 편입한다.
구체적으로는 ▷공원자연보존지구(31.416㎢) ▷공원자연환경지구(89.368㎢) ▷공원마을지구(0.053㎢) ▷공원문화유산지구(3.430㎢) ▷공원집단시설지구(1.079㎢) 등으로 구획할 예정이다.
현존 공원시설은 명칭과 분류 등을 국립공원 공원시설 체계에 따라 조정한다. 기존 '등산로'는 '탐방로'로, '관리초소'는 '탐방지원센터'로, '야외무대'는 '공연장' 등이다.
아울러 주민들 요청에 따라 주차장과 공중화장실 각 2곳, 탐방로와 지역별 야영장 등을 신설할 방침이다.
거주지와 상업지구는 기존처럼 시민들 생활을 이어가도록 하되 탐방·등산객이 거닐 곳과 환경보전이 필요한 곳, 동화사 등 문화재가 있어 국가적 관리가 필요한 곳 등을 더욱 체계적, 전략적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실제 국립공원공단은 팔공산 군위군 하늘정원까지 가는 친환경 대중교통수단 신설, 등산로 주변 야생화 심기 등 변화를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공원 경우 국내외 관광객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대적 홍보도 이뤄지는 만큼, 승격 시 인지도 상승과 관광객 증가가 이어져 지역경제 활성화 발판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높다.
당국은 팔공산 브랜드 가치가 오를 시 연간 50만 명 이상 관광객을 유입하고 연 49억 원의 소득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광주 무등산과 강원 태백산도 국립공원 지정 첫해인 2013년, 2016년 인지도가 각각 70% 이상 올랐다.
대구의 '팔공산국립공원을 만들고 가꾸는 사람들' 측은 "국립공원에 지정되면 지금보다 5배 많은 국비가 지원된다. 관광객이 늘면 지역 내 소비와 일자리도 크게 늘어나는 등 경제 활성화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다면 2016년 태백산 이후 7년 만의 신규 국립공원이 된다. 당국은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여러 긍정적 효과를 내고자 힘쓰겠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국립공원으로 지정할 때 신규 편입하는 구획 중 사유지는 땅 주인이 원하는 경우에 한해 최소한 포함시킬 예정이다. 승격에 따른 규제도 도립공원 때와 비슷하므로 긍정적 효과가 더욱 크리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