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5공화국 마지막 대법원장인 김용철 전 대법원장
제5공화국 마지막 대법원장인 김용철 전 대법원장이 14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99세.
1924년 경북 성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기 1년 전인 1949년 제3회 조선변호사시험에 합격해 법조계에 입문했다.
김 전 대법원장은 대구지법·대구고법 판사와 서울지법·서울민사·형사지법 부장판사, 서울고법 부장판사, 춘천지법원장을 거쳐 1975년 대법원 판사(현재의 대법관)가 됐다. 1986년 4월 제9대 대법원장에 올랐다.
하지만 김 전 대법원장은 제2차 사법파동으로 1988년 사퇴해야 했다. 6월 항쟁 후 출범한 노태우 대통령이 전두환 정권 시절 임명된 김 전 대법원장을 사법부 수장에 재임명하자 젊은 판사 335명은 대법원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한편 정보기관원의 법원 상주와 판사의 청와대 파견 근무를 중단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 전 대법원장은 그해 6월 "젊은 법관들이 대법원장 퇴진과 사법부 개편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사태에까지 이른 것은 본인의 부덕한 소치"라며 직을 내려놨다.
생전 청조근정훈장(1979년)과 수교훈장 광화대장(1986년), 국민훈장 무궁화장(2015년) 등 상훈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아들 김성재·성윤 씨, 딸 김성아·진아·정아 씨 등이 있다. 춘천지법원장을 지낸 최성준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사위다.
빈소는 서울 강동경희대병원 장례식장 12호에 차려졌다. 발인은 17일(금), 장례는 법원장(葬)으로 치러지며 장지는 국립대전현충원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대구시, '신청사 건립 자문위' 첫 회의…역사성·공공성 등 논의
시진핑에 '최고급 바둑판' 선물한 李…11년전 '바둑알' 선물에 의미 더했다
한중 정상회담서 원·위안 통화스와프 등 7개 MOU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