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통령 비서실장 "주 69시간 근로제 진의 제대로 못 전달"

"근로자에 혜택 주려는 정책"…애초 취지 설명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등 당과 정부, 대통령실 핵심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당정 협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등 당과 정부, 대통령실 핵심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당정 협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주 최고 69시간' 근로시간 제도 개편과 관련해 "진의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19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 모두발언에서 "69시간이라는 극단적이고, 일어날 수 없는 프레임이 씌워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실장은 "지난주 이 문제로 갈등이 있었는데, 연장근로시간 단위를 확대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근로자들에게 혜택을 주려는 정책이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이어 "MZ 근로자, 노조 미가입 근로자, 중소기업 근로자 등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들으면서 같이 보완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내외 여건이 지각 변동이라고 불릴 만큼 엄중한데, 이럴 때일수록 당과 정부, 대통령실은 긴밀히 소통해야 한다"며 "특히 각 부처로 하여금 추진하는 정책은 반드시 당과 사전협의를 해 예상되는 부작용을 거르는 노력을 강화하겠다"고도 했다.

아울러 김 실장은 지난 16일 열린 한일 정상회담 성과에 대해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대승적 해법이 나와 과거를 극복하고 협력의 새 시대를 여는 첫걸음을 내디뎠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김 실장은 "북핵 위협이 가중되고 미중 패권 갈등, 글로벌 공급망 위기로 세계 경제가 지각변동을 겪는 속에서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라면서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어 "야당과 관련 시민단체들이 많은 반대를 하지만, 그렇다고 대안도 없이 한일관계를 종전과 같이 무책임하게 방치하는 건 국가의 미래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고위당정협의회는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를 포함해 국민의힘 새 지도부가 선출된 뒤 열린 첫 회의다.

김 실장은 국민의힘 새 지도부와 인사하면서 "첫 번째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민생"이라며 "저희도 첫째도 민생, 둘째도 민생, 셋째도 민생이라는 대통령과 의견을 같이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