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북한 고체ICBM 첫 시험발사…軍 "킬체인 무력화 우려는 기우"

조선중앙통신, 14일 고체연료 미사일 시험 발사 공개
기습 발사 가능해 '선제 타격' 킬체인 무력화 우려도
국방부, "중간단계 시험발사…우리 군 방어 능력 보유"

북한 조선중앙TV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북한 조선중앙TV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13일 공화국전략무력의 전망적인 핵심주력수단으로, 중대한 전쟁억제력의 사명을 수행하게 될 새형의 대륙간탄도미싸일(미사일) '화성포-18' 형 시험발사가 단행되였다"며 14일 영상을 공개했다. [조선중앙TV 화면]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고체연료를 사용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포-18형을 처음 시험 발사했다고 14일 밝혔다. 고체연료 ICBM은 은밀한 기습 발사가 가능해 북한 핵·미사일을 탐지해 선제로 타격하는 '킬체인'이 무력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와 관련, 우리 군 당국은 '기우'라고 일축하며 "개발을 위한 중간 단계의 시험발사"라고 평가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지난 13일 공화국전략 무력의 핵심주력 수단으로, 중대한 전쟁 억제력의 사명을 수행하게 될 새형의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포-18형 시험 발사가 단행됐다"고 밝혔다.

시험 발사 시각과 장소, 비행거리, 최대 고도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딸 김주애, 아내 리설주, 여동생 김여정 당 부부장과 함께 시험발사 모습을 지켜봤다.

앞서 우리 군은 13일 오전 7시 23분쯤 평양 인근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정상보다 높은 각도로 발사했다고 확인한 바 있다. 비행거리 1천㎞에 고도 약 3천㎞ 미만으로 알려졌다.

군은 미사일의 발사 특성 등을 분석해 고체연료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는데, 북한이 하루 만이 이를 공식 확인한 것이다.

고체연료 미사일은 발사 화염이 주변으로 퍼지고 액체연료 미사일은 촛불과 비슷한 형태로 화염이 모인다고 알려져 있다. 고체연료를 쓰면 순간 추력이 강해 상승 속도가 액체연료보다 빠르다고 한다.

특히 연료주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해 신속하고 은밀한 발사 가능하다. 킬체인 등 우리 군의 방어 체계를 무력화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하지만 국방부는 이날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해 탐지, 타격,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일각의 우려를 일축했다.

국방부는 "고체연료 방식의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개발하기 위한 중간단계의 시험발사"라며 "체계개발 완성까지 이르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또 "고체연료 다단계 발동기, 단 분리, 시간지연분리시동 방식 등 오늘 북한 발표에 나온 기술은 새로운 것이 아니라 탄도미사일 개발 과정에서 거쳐야 하는 통상적인 기술요소"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추가 시험 발사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북한이 지난해 말 고체추진 엔진의 지상 연소 실험을 한 데 이어 불과 넉 달 만에 시험발사에 성공한 만큼 앞으로 비행거리, 제어기술 등을 점검하는 추가 실험에 나설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서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본토 타격 능력 입증을 위한 2차 시험 발사 가능성도 제기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