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00년 학교] 임금의 우물 '왕정(王井)' 전설 품은 고령초교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 선도학교·예비미래학교…
특색 있는 수업력 인정 받아

고령초등학교 졸업식 단체사진. 시기는 미상. 고령초교 제공
고령초등학교 졸업식 단체사진. 시기는 미상. 고령초교 제공

경북 고령군 고령초등학교는 1906년 지금의 고령향교 자리에서 고령보통학교로 개교해, 고령공립보통학교로 개칭됐다가 1949년 지금의 자리에 터를 잡았다. 2001년 병설유치원 개원, 2004년 왕정도서관 개소, 2006년 100주년 기념 역사관을 개관하며 경북 소재 학교 중 가장 먼저 개교 100주년 행사를 개최했다. 2023년 제113회 졸업생을 포함해 1만7천249명의 인재를 배출했으며 교훈 '참되고 슬기롭게'를 실천하고 있다.

고령초등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비. 고령초교 제공
고령초등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비. 고령초교 제공

◆시대적 상황에 맞는 맞춤형 인재양성

고령초교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필요한 인재를 양성했다.

1976~1979년은 애국, 탐구, 건강, 준법, 협동을 목표로 나라사랑과 반공 어린이 양성에 주력했다. 1992~1993년은 자주, 도덕, 창조, 정서, 건강을 통해 주인정신을 갖고 자율적으로 생활하는 어린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창조성 함양에 중점을 뒀다.

또 2000~2005년은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스스로 탐구하는데 역점을 뒀고, 2014~2016년은 도덕인, 개성인, 창의인, 문화인, 세계인 등 학생 본연의 개성과 창의성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췄다.

올해는 '머물고 싶은 학교 그리움이 있는 학교'를 만들기 위해 전 교직원이 열정을 쏟고 있다.

고령초교는 1995년 경북도 지정 학력관리 지역중심학교(영어)를 운영했으며, 1996년 교육부 지정 '인성교육자율시범학교'로 선정돼 인성교육의 기틀을 마련했다.

특히 과정 중심의 특색 있는 평가활동과 수업 녹화영상을 시청하며 수업협의회를 개최해 수업력 신장을 유도한 결과 2017년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로 뽑히는 쾌거를 거뒀다.

2018~2019년은 과정중심평가 연구학교로써 학생 개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담은 '별담보고서'를 활용한 과정중심 평가활동을 수행했고, 2020~2021년은 교육과정 선도학교 운영에 이어 경북예비미래학교로 지정돼 미래 세대를 키워가고 있다.

1960년대 고령초등학교 운동회. 고령초교 제공
1960년대 고령초등학교 운동회. 고령초교 제공

◆국회의원·고위공직자 등 인재 수두룩

고령초교는 역사가 깊은 만큼 품고 있는 이야기도 많은데, 문화재로 지정된 임금님이 마신 우물 '왕정'이 있다. 왕정은 아무리 가뭄이 심해도 줄지 않고 홍수가 나거나 폭우가 쏟아져도 일정 수위와 물맛을 유지했다고 한다. 상수도가 들어오기 전까지 인근 주민의 식수로 사용됐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현의 남쪽 1리에 대가야 궁궐터가 있는데 그 곁에 돌우물이 있으니 세상에서는 어정이라 전한다'고 기록돼 있다. 이를 토대로 대가야 시대 520년 동안 왕들이 마신 우물로 추정하고 있다.

고령초교를 빛낸 동문은 12~14대 최운지 국회의원이 있다. 최 의원은 재무부 세관국장, 관세청 차장, 민중민주당 부총재를 역임했다.

또 TV드라마 전원일기 배우 신충식 씨를 비롯해 이홍직(전 고령군수, 고령교육장), 곽종원(전 건국대 총장), 박암(전 외무부 차관), 박소암(의학박사), 이헌재(전 연대의대 교수), 김우현(전 치안본부장), 신용욱(전 서울지방병무청장), 이장환(영진석유 대표이사), 최성락(현 한‧몽교류진흥원장) 동문도 고령초교를 빛낸 인물이다.

안근모 고령초교 교장은 "고령초교는 나눔과 배움을 소중히 여기며 기본을 내실 있게 다지고, 웃음과 배려가 있는 배움과 채움의 공간"이라며 "학생은 스스로 꿈을 찾고 끼를 펼치며, 교직원 학부모 지역사회 모두가 신뢰하고 만족하는 교육실천의 장, 머물고 싶은 학교 그리움이 있는 학교가 되도록 학교경영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제강점기 때 고령초등학교 건물과 교직원들. 고령초교 제공
일제강점기 때 고령초등학교 건물과 교직원들. 고령초교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