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수정 "최근 흉기 난동 사건, 코로나19와 아주 밀접히 상관"

"비대면 사회의 결핍 반영…대면 사회 되며 수면 위로 떠올라"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CBS 라디오 방송화면 캡쳐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CBS 라디오 방송화면 캡쳐

최근 잇따라 발생한 흉기난동 사건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비대면화 된 사회와 관련됐다는 전문가 분석이 제기됐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 심리학과 교수는 28일 YTN 라디오 '신율의 뉴스 정면승부'에서 최근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과 코로나19의 연관성에 대해 "아주 밀접히 상관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서울 관악구 신림동 조선, 경기 성남 서현역 최원종 등이 벌인 흉악범죄의 배경에 비대면 사회의 결핍이 반영됐다고 봤다.

그는 "장기간 비대면화 된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사회화되는 과정들이 결핍된다"며 "(코로나19 이후) 대면 사회가 되면서 수면 아래 가라앉아 있던 것들이 다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런 예견들은 전 세계적으로 다 헀다"며 "외국에서도 테러가 늘어날 거라는 이야기가 일관성 있게 나왔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 같은 범죄를 '이상 동기 범죄'로 부르는 것과 관련해 "개인적으로 (용어가) 그렇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경찰청에서 나름대로 통계를 산출하려면 적정한 통계 산출 기준이 필요하다. 그 기준을 심는 차원에서 용어를 변경하는 건 경찰청 입장에서는 유용한 용어 정의"라고 했다.

최근 발생한 흉기 난동 범죄에 대해서는 젊은 세대를 주축으로 범죄 공포가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흉기 난동의 경우 꼭 한 가지 종류의 동질적인 범죄만 벌어지는 것은 아니"라며 "예전과 같이 야간에 벌어지는 일도 있겠지만 최근에는 대낮에도 벌어지고 다양한 시간대에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젊은 세대들의 살인 예고글이 함께 여러 가지 불안을 조성하다 보니 지금 범죄에 대한 공포가 과거보다 좀 심화되고 있는 시점이 아닌가 싶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