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수학 영역을 선택하지 않은 수험생 비율이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24학년도 수능 지원자 현황'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 지원자(50만4천588명) 중 5.3%(2만6천505명)가 수학 영역 미응시자로 집계돼 2016학년도(6.4%) 이후 최고로 나타났다.
2024학년도 수능 수학 미응시자 비율은 전년도 수능(4.2%)보다 1.1%포인트(p), 지금과 같은 통합 수능이 도입된 2022학년도(4.1%)보다 1.2%p 각각 상승했다.
수학 미응시 수험생 비중이 증가한 것은 수시 비중이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대입 수시 선발 비중(4년제 일반대 기준)은 역대 최고인 78.8%에 달한다.
통상 대학들은 전형에 따라 수시 합격생에게 일정 등급 이상의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요구한다. 이에 비교적 평이한 영어나 탐구 영역만 공부하고, 까다로운 수학은 포기하는 수험생이 늘어나면서 수학 미응시자가 증가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수능 수학을 선택한 응시생으로 한정해 살펴보면, 이과 수험생들이 주로 응시하는 선택과목으로 쏠림이 두드러지는 모양새다.
올해 수능 수학 선택과목 중 이과생들이 주로 선택하는 미적분·기하 수험생 비중은 53.2%로, 이는 1994학년도 수능 도입 이후 최고치다.
의대 쏠림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고, 통합 수능 도입 이후 미적분이 표준점수를 받기 유리하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최상위권 문과 학생들도 이과생들이 고르는 수학을 선택하는 경향이 짙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통합 수능 체제에선 같은 원점수를 받더라도 (문과생들이 많이 택하는) 확률과 통계가 (이과생이 주로 선택하는) 미적분 표준점수보다 항상 낮았다"며 "올해는 확률과 통계에서 미적분으로 갈아탄 상위권 문과 학생들이 작년보다 증가한 것 같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