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연말쯤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돌입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배경에는 당 지도부와 혁신위원회는 물론 원내·외 주요 주자들 사이 파열음이 심상치 않다는 점이 꼽힌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원내 다수당이 되기 위해선 변화가 절실하지만 원팀으로의 선거 전략이 가다듬어지기는커녕 내홍만 심해지는 양상이어서 '비대위 전환 외에는 대안이 없는 게 아니냐'는 데 무게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인요한 혁신위원장은 15일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소신껏 맡은 임무를 거침없이 하라"는 메시지를 받았다고 밝혔다. 자신이 위원장으로 임명된 이후 윤 대통령과 만남은 성사되지 않았지만 이 같은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전달받았다고 말했다.
인요한 혁신위는 '당 지도부·중진·친윤(친윤석열) 인사 불출마 또는 수도권 험지 출마' 권고안을 내놓았지만 뚜렷한 응답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여건이다. 이런 와중에 인 위원장이 권고안의 배경에 윤심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당 지도부 등을 향한 압박을 최고조로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사실상 권고안의 대상으로 꼽히고 있는 김기현 대표는 그간 혁신위 활동에 대한 평가를 삼갔던 태도와 달리 비판적 메시지를 내며 크게 반발하는 모양새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혁신위를 향해 "정제되지 않은 발언들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고 그것이 번복되거나 혼선을 일으키는 모습은 혁신을 위해서도 당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직격했다. 혁신위가 최근 '조기 해체론'을 흘렸다가 번복하는 등 모습을 두고 한 말로 해석된다.
김 대표는 전날 구미에서도 기자들에게 혁신위가 당 체질을 개선하고 당 면모를 일신하기 위해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고무적"이라면서도 "총선은 종합 예술작품이다. 당을 중심으로 지도부가 총선을 종합 예술 차원에서 잘 지휘해 나갈 것"이라고 꼬집었다. 당 지도부를 중심으로 총선까지 잘 치러내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하지만 인 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혁신위와 당 지도부, 친윤 등 사이 입장차가 쉽게 접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란 비관도 적잖다. 당장 오신환 혁신위원은 김 대표의 비판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 "당이 혁신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때 할 수 있는 일은 그것(조기해체) 밖에 없지 않나"라며 '혁신위 조기해체설'을 거듭 강조했다.
지역구에서 세 과시에 나서며 반발한 장제원 의원을 향해서도 "민심의 큰 흐름을 거스르기 어렵다. 본인들 스스로 결단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당 안팎에서는 인요한 위원장을 비롯해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한동훈 법무부 장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등을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하는 말까지 나온다. 이준석 전 대표는 이날 BBS 라디오에서 "한 1~2주 시한 내 김기현 당 대표 쫓겨난다고 본다. 보수층에선 한동훈 장관이 비대위원장 해야겠다는 식으로 몰아갈 가능성이 있다"고 거들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혁신위에 전권을 주고 영입했는데 당 대표가 혁신위를 비판한다면 자가당착"이라고 김 대표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