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거 빈대 아니야?" 계속되는 '빈대 포비아'에…살충·방충제 매출 110%↑

스팀청소기 매출 38%·침구청소기 매출 83% 올라

'빈대 공포' 여파로 살충제 등 퇴치용품을 구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과 해외 직구가 증가했다.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9일까지 살충·방충제 온라인쇼핑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0% 증가했다. 사진은 2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살충·방충제. 연합뉴스

'빈대 공포'가 한 달째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살충제 등 퇴치용품을 구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과 해외 직구도 덩달아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22일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9일까지 살충·방충제 온라인쇼핑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0% 증가했다. 스팀청소기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38%, 침구청소기 매출은 83% 각각 늘었다.

온라인 최저가 비교사이트 에누리를 통한 살충·방충제 온라인쇼핑 매출도 작년 같은 기간보다 196% 급증했고, 스팀 청소기는 116%, 침구 청소기는 201% 각각 올랐다.

지난달 인천 사우나, 대구 계명대 기숙사를 시작으로 전국에 빈대가 출몰했다는 소식이 잇따르자 당시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등은 빈대 발견 시 증기·고온 처리·진공 청소기 흡입 등 물리적 방제를 우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후 대중교통과 숙박시설 등에서 방역이 강화되기도 했다.

환경부는 살충제를 꼭 필요한 곳에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안내했지만 소비자들은 더 강력한 퇴치제를 찾아 해외직구까지 나서고 있다.

피레스로이드 내성 빈대 균주를 죽이기 위해 이미다클로프리드 0.05%가 함유된 '레이드 맥스 빈대 퇴치' 스프레이 제품은 직구 쇼핑몰 비타트라에서 판매를 시작한 지 열흘 만에 350개 넘게 팔리기도 했다.

다나와 관계자는 "빈대가 전염병 등 질병을 유발하진 않지만, 흡혈로 인한 불편함을 초래하기 때문에 물리적, 화학적 방제 제품 수요는 지속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