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창원특례시, 도시 혁신성장 가속화 토대 마련 박차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024년 도시정책 추진계획 발표

2040 창원도시기본계획 공간구조 구상도. [사진=창원시]
2040 창원도시기본계획 공간구조 구상도. [사진=창원시]

경남 창원특례시는 올해 '도시의 혁신성장 가속화를 위한 단단한 토대 마련'에 박차를 가한다. 이를 위해 창원시는 3일 2024년도 도시정책 분야의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창원시는 올해 ▲미래 50년 발전을 이끌 유연한 도시공간 창출 ▲일상이 지속되고 시민이 안전한 정주 환경 조성 ▲함께 소통하고 모두가 공감하는 체감형 도시 행정 구현의 3개 정책과제 추진에 역량을 집중한다.

시는 도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30 창원도시관리계획'을 재정비한다. 지난해 수립한 '2040 창원도시기본계획'에 부합하도록 도시의 미래상과 발전 방향을 구체화하고, 불합리한 도시계획시설과 용도지역·지구 등 도시관리계획을 정비한다.

올해 6월까지 공공시설인 도로, 주차장 등 도시계획시설의 1차 재정비(안)에 대해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을 완료하고, 이후 용도지역‧지구, 공원 등이 포함된 2차 재정비(안)을 수립해 오는 2025년까지 재정비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잠재적 난개발 방지를 위한 도시개발 전략도 지속해 추진한다. 시는 지난해 개발압력이 높은 지역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계획적인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계획관리지역 내 '산업형 성장관리 계획'을 수립했다. 올해는 녹지지역·관리지역·농림지역·자연환경보전지역에 대하여 주거형, 근린형 성장관리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지역별 특성과 여건에 맞는 성장관리계획 수립으로 난개발 예상 지역의 개발행위 예측 가능성을 확보하고, 계획적인 개발유도로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방침이다.

도시가 발전할 수 있는 공간 확보를 위해 개발제한구역(GB·그린벨트)의 단계적 해제에도 적극 나선다. 특히 혁신성장을 위한 주력 산업 부지의 개발제한구역을 우선 해제해 국가 전략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도지사의 개발제한구역 해제 권한을 확대하는 것을 시작으로, 창원권 개발제한구역이 전면해제될 수 있도록 입법화 건의를 지속할 계획이다.

시는 기존의 도시경관 정책 및 관리의 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지역별 고유한 특성과 다양성을 반영해 경관계획을 재정비한다. 특히 올해는 전문가 자문단을 통해 이미 수립된 경관계획의 타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경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시민의 눈높이에서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해 범죄예방환경(셉테드·CPTED) 기법을 도입한 안심 골목길을 조성한다. 옹벽·담당 등 디자인 개선, 경관조형물 설치, CCTV·바닥 조명 설치로 감시체계 강화 및 안전메시지 전달, 보안등 설치, 경관조명을 활용한 조도 개선을 추진한다.

지역 간 주거환경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2030 창원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재정비한다. 재정비의 주요 내용은 ▲2030 창원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 대한 검토 ▲기존 계획에서 제외된 읍·면 지역 정비방안 ▲주거생활권 정비사업 활성화 행정지원 방안 ▲가로주택정비사업 정책 방향 검토 ▲재건축 단계별 총량제 도입 검토 ▲정비구역 해제 지역에 대한 사후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방향 등이다.

또 시는 노후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입주민들의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공동주택 관리지원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올해는 공동주택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에 지원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등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 안정에도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친다. 특히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비 완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안제문 창원시 도시정책국장은 "2024년 도시정책의 추진 목표를 '도시의 혁신성장을 가속화 할 수 있는 단단한 토대 마련'으로 잡고, 창원시의 미래 50년 성장을 위한 도시발전의 토대를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