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세 모녀가 최근 상속세 납부액 마련을 위해 2조원이 넘는 규모의 계열사 지분 일부를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 형태로 매각한 가운데 여전히 여성 중 주식평가액 최상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500대 기업 오너 일가 소속으로 주식을 대량 보유한 여성 417명 중 상위 50명의 주식 가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삼성가 세 모녀가 보유한 주식 시가총액은 지난 12일 종가 기준 24조1천975억원으로 지난해 1월 12일(24조1천275억원)보다 약 0.3% 증가했다.
상위 1~3위를 차지한 이들은 지난 11일 개장 전 블록딜로 삼성전자 등 계열사 지분 2조1천689억원 상당을 매각했으나 삼성전자 주가 상승으로 평가액은 지난해 1월 12일 대비 증가해 순위 변동이 없었다.
1위인 홍 전 관장의 경우 삼성전자 지분 0.32%(1932만4천106주)를 매각한 뒤에도 삼성전자·삼성생명·삼성물산 지분 가치가 지난해 대비 1.1% 증가한 7조3천963억원으로 집계됐다.
2위인 이부진 사장은 삼성전자 지분 240만1223주(0.04%)와 삼성물산·삼성SDS·삼성생명 일부 지분을 처분했으나 이달 12일 기준 보유 주식 가치(6조334억원)는 지난해보다 2.5% 늘었다.
3위 이서현 이사장은 삼성전자 지분 810만3854주(0.14%)를 매각 후 보유 지분 전체 가치는 지난해 대비 4.2% 증가한 5조3천669억원으로 상승했다.
이어 SK 일가로 SK㈜ 지분 6.6%를 보유한 최기원 행복나눔재단 이사장이 지난해보다 14.2% 감소한 7천876억원으로 4위에 올랐고 그 뒤를 고(故) 구본무 LG그룹 회장 부인 김영식 여사, 신세계그룹에서는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 6위, 모친인 이명희 회장이 7위를 차지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