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대기업은 실적 감소에도 연구개발(R&D) 투자액을 전년 대비 9.4% 늘린 가운데, 대기업 중 R&D 투자액이 가장 많았던 기업은 삼성전자였다.
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국내 500대 기업 중 R&D 비용을 공시한 224곳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의 R&D 투자액은 73조4천23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67조1천413억원)보다 6조2천825억원(9.4%) 증가한 수치다.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도 2022년 3.07%에서 2023년 3.39%로 1년 새 0.32%포인트 상승했다.
조사 대상 기업 중 R&D 투자액 기준 1위는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28조3천528억원으로, 전년 대비 3조4천236억원(13.7%)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매출이 14.3% 감소했지만, 조사 대상 기업 중 유일하게 20조원 이상을 R&D에 투자했다.
LG전자(4조2천834억원)와 SK하이닉스(4조1천884억원), 현대자동차(3조9천736억원), 기아(2조6천92억원), LG디스플레이(2조3천995억원), LG화학(2조857억원), 네이버(1조9천926억원), 현대모비스(1조5천941억원), 카카오(1조2천236억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상위 10위 기업의 R&D 투자액은 조사 대상 기업 전체 투자액의 71.8%를 차지했다.
지난해 R&D 투자액을 가장 많이 늘린 곳도 삼성전자였다. 이어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각각 6천330억원(18.9%)과 4천462억원(20.6%)을 늘리며 나란히 2·3위를 차지했다. 4위는 3천57억원(17.2%)을 늘린 LG화학, 5위는 2천464억원(6.1%)을 늘린 LG전자였다. 이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2천275억원↑), 현대모비스(2천214억원↑), 카카오(2천23억원) 등의 순이었다.
반면 지난해 R&D 투자액이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SK하이닉스였다. SK하이닉스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4조1천884억원으로, 전년 대비 7천169억원(14.6%) 줄었다. R&D 투자 감소액 2위는 넷마블이다. 넷마블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전년 대비 1천873억원(21.8%) 감소한 6천708억원으로 집계됐다.
셀트리온이 지난해 R&D 투자액(3천427억원)을 전년 대비 697억원(16.9%) 줄이며 3위에 올랐고, 한국항공우주가 R&D 투자액(1천632억원)을 437억원(21.1%) 줄이며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HL만도(363억원↓)와 LG이노텍(354억원↓), LG디스플레이(321억원↓), 종근당(301억원↓) 등의 순으로 R&D 투자 감소액이 컸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