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통계 관리를 시작한 이후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교통사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 2023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전년(2022년) 대비 6.7%(184명) 줄어든 2천551명으로 집계됐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3년부터 11년 연속 감소해왔으며, 지난해 사망자 수는 교통사고 통계관리를 시작한 1970년 이후 역대 최저치다. 대표적인 국가 간 교통안전수준 지표인 '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수'도 4.9명까지 감소했다.
지난해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를 보면, 자동차 승차 중 및 보행 중 사망자가 각각 35.6%(909명), 34.7%(886명)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연령대별로는 65세 이상 사망자가 48.6%(1천240명)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12세 이하 사망자는 22.2%(4명) 감소한 14명으로, 사고 유형별로는 보행 중 12명(85.7%), 차량 승차 중 2명(14.3%)이었다. 이 중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발생한 보행사망자는 2명으로 전년보다 1명 감소했다.
보행사망자는 교통사고 전체 사망자의 34.7%인 886명으로 전년 보다 5.0%(47명) 감소했다. 65세 이상 보행사망자와 어린이(12세 이하) 보행사망자도 각각 1.4%(43명), 14.3%(2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 차종별로는 이륜차, 자전거, 개인형 이동장치(PM) 사고의 사망자 감소가 두드러졌다.
이륜차와 자전거 사고 사망자 수는 각각 19.0%(92명), 29.7%(27명) 감소했고,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 사망자도 전년 대비 7.7%(2명) 감소했다.
사망자를 많이 발생시킨 차량으로는 승용차 다음으로 화물차, 이륜차(원동기장치자전거, 사륜오토바이 포함) 순이었다.
특히 지난 2022년 증가했던 음주운전사고 사망자 수는 단속, 예방 활동 결과로 지난해엔 25.7%(55명) 줄었고, 렌터카사고 사망자도 31.5%(29명) 감소했다.
공단은 교통사고 사망자 수 감소세 배경은 정부의 교통안전 정책과 국민 교통안전의식이 향상한 결과라고 봤다.
공단은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해 빅데이터 기반 교통안전 개선사업, 어린이‧고령자, 이륜차‧렌터카 등 유형별 교통안전교육 강화, 홍보 플랫폼을 통한 국민소통 활성화, 미래 모빌리티 안전을 위한 정책기술개발 등 교통안전활동을 전개해 왔다.
올해는 지역 맞춤형 사고 고위험지역 개선, 빅데이터 융합플랫폼 기반 교통안전 정보서비스 발굴, 데이터 가치창출을 위한 가명정보 결합전문기관 운영 등 교통사고 감소대책을 세웠다.
고영우 도로교통공단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장은 "도로 위 국민 안전을 위한 정부·지자체, 경찰, 관계기관의 노력으로 교통사고 사망자가 매년 감소하고 있고 2023년은 사망자 역대 최소치를 기록하는 의미 있는 한 해였다"며 "지속적인 사망자 감소를 이어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