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북 경주시를 찾은 관광객이 내비게이션 목적지로 가장 많이 검색한 곳은 '황리단길'이었다.
18일 경주시가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 데이터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경주를 방문한 관광객이 내비게이션 목적지로 가장 많이 검색한 관광지는 황리단길로 총 11만8천370건을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석굴암 검색량이 9만8천351건으로 뒤를 이었고, 동궁과 월지 1만7천899건, 월정교 1만2천220건 등의 순이었다.
방문객 체류시간도 황리단길이 가장 길었다. 황리단길 체류시간은 평균 1시간 33분으로, 월정교(1시간 18분), 동궁과 월지(48분), 석굴암(40분), 첨성대(27분) 등과 비교해 체류시간이 훨씬 길었다.
황리단길 방문객의 3분의 1은 수도권 거주자였다. 경주시 관계자는 "경기(14.6%)·서울(11.9%)·인천(2.6%) 등 황리단길 방문객의 30%가 수도권 거주자"라며 "이들은 1박 이상 숙박 가능성이 높은 만큼, 시는 황리단길이 경주의 관광산업을 이끌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황리단길의 인기는 경주시의 행정적·재정적 뒷받침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경주시는 문화재보호구역에 묶여 개발은 물론 수리조차 어려웠던 황리단길 한옥의 신축·증축·개축 절차를 간소화했다.
또, 인도가 없어 차량과 방문객이 뒤엉켜 극심한 혼잡을 빚었던 황리단길에 2018년 일방통행을 도입해 보행환경을 개선했다.
전선지중화 사업도 추진했다. 한국전력과 협의해 거미줄처럼 얽혀 있던 전선과 보행에 방해가 되는 전신주를 없애면서 미관을 살리고 보행 환경도 개선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뒀다.
특히 인근에 있는 대릉원 입장료를 전면 폐지해 황리단길 방문객이 대릉원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하면서 더 많은 관광객들을 끌어들였다는 분석도 나온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황리단길은 전국에 몇 안 되는 상인과 주민 주도로 조성된 특화거리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행정 및 재정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며 "경주시는 상인과 주민, 방문객 입장에서 황리단길 활성화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