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추석 명절 기간 스미싱, 사기, 위조, 횡령처럼 범인이 지적 능력을 이용하여 저지르는 지능범죄의 발생 건수는 총 3,275건이었으며, 검거율은 약 56%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 395건, ▷2020년 533건, ▷2021년 649건, ▷2022년 573건, ▷2023년 1,125건으로 5년 사이 약 2.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강력범죄 약 1.4배, ▷절도범죄 약 1.7배, ▷폭력범죄 약 1.2배, ▷기타범죄 약 1.2배 증가한 것에 비해 매우 가파른 증가 폭이다.
동 기간 검거율은 ▷2022년 104%의 검거율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2019년 51.1%, ▷2020년 41.5%, ▷2021년 41%, ▷2023년 48.3%로 대부분 절반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지능범죄 중 문자메시지로 인터넷주소 등을 전송하여 금융 사기 등을 벌이는 '스미싱' 범죄는 최근 5년간 총 465건이 발생했다.
연도별로▷2019년 13건, ▷2020년 95건, ▷2021년 140건, ▷2022년 52건, ▷2023년 165건으로 5년 사이 약 13배가 늘어났다.
검거는 49건에 불과해 검거율은 10.5%에 그쳤다. 범죄 10건 중 1건 정도만 검거됐다는 것이다. 2023년 추석에는 검거율 6.1%로 한 자리 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정희용 의원은 "추석과 같은 명절기간에는 지인·가족 간 안부 문자메시지를 주고받는 경우가 많아 문자메시지에 대한 경계심이 낮아진다. 누구나 스미싱 피해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예방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또 "스미싱 범죄가 지능화·고도화되고 있지만, 검거율은 낮아지는 추세다. 스마트폰 해킹 등 2차 피해도 우려되는 만큼, 광고성 대량 문자에 대한 규제 강화가 필요하고 스미싱 피해 예방 교육을 하여 다가오는 추석 명절에 발생할 수 있는 스미싱 범죄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