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의 내년도 예산이 6.8% 늘었으나 소모성 경비가 절반을 넘는 데다 나머지 대부분도 생산성과 무관한 고정지출이어서 비메모리 반도체 기반 구축 등 신성장 동력 발굴 사업에는 한 푼도 투자하지 못할 처지에 놓였다.
경산시는 26일 1조3천976억원에 달하는 내년도 본 예산안을 공개했다. 올해 1조3천92억원에서 6.8% 증가한 수치다. 이 가운데 사회복지 분야에만 41.2%가 투입된다. 각종 연금과 계층별 현금성 지원에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는 것이다.
쌀직불금 분담금 등 복지적 성격을 띠는 전통산업에도 총예산 대비 8.7%가 들어간다. 문화관광(4.5%), 공공질서안전(1.6%), 교육(1.4%) 등 고정비 성격의 예산도 상당하다. 여기에 공무원 인건비(3.7%) 등을 합치면 시청의 자체 예산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같은 이유 등으로 내년도 과학기술 예산은 0%가 됐다.
젊은이들의 정주 여건을 책임지겠다는 경산시가 미래 성장 동력에 한 푼도 들이지 못하는 배경에는 고정비와 그 증가율 때문이다. 사회복지 예산의 경우 지난 2021년 3천439억원에 불과했으나 2025년 5천64억원으로 불었고, 같은 기간 농업분야도 연평균 9.2%씩 늘었다. 그러는 사이 자체 사업비와 미래 산업 관련 예산은 쪼그라들었다.
시청 기획예산과의 한 관계자는 "경산시의 전체 예산이 소폭 느는 추세지만, 고령화 및 지역 경제 저성장에 따른 빈곤화로 복지 예산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이를 감당하려면 다른 예산의 증액은 꿈도 꾸지 못하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고정비용을 제외한 내년도 자체사업 예산이 5천억원 정도다. 하지만 이는 단순 계산에 불과하다"며 "인건비, 운수업계 보조금, 연금 부담금, 생활폐기물 위탁처리비 등 3천억원 이상을 제외하면 제대로 된 자체 사업은 시작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했다.
경산시는 궁여지책으로 내년도 추경에 희망을 걸어보겠다는 소극적 분위기다. 조현일 경산시장은 "비메모리 반도체 직접 단지 구축 사업을 누구보다 원하고 있으나 관련 예산을 당장 배정할 수 없는 실정"이라며 "추경을 통해 숨통이 좀 트이면 그때 가서 생각해 볼 문제"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