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삼성·SK 취업보다 의대"…작년 정시 대기업 계약학과 등록포기율 179%

합격자 138명 등록 포기…모집 정원의 2배
"올해 의대 증원으로 이러한 현상 심화 전망"

반도체 관련 자료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반도체 관련 자료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대기업 취업이 보장된 반도체 계약학과 5곳의 정시모집에서 정원의 2배가량이 합격 후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합격자들이 선호도가 높은 의약학계열에 중복 합격해 빠져나간 것으로 분석된다.

9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4학년도 정시모집에서 5개 대학의 반도체 계약학과 합격자 중 138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이는 모집 정원(77명)의 1.8배(179.2%)에 해당하는 수치다.

반도체 계약학과는 대학과 기업이 협력해 현장 맞춤형 인재 교육을 실시하는 학과로, 학생은 졸업 후 해당 기업으로 취업할 수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 계약학과(성균관대·연세대)와 SK하이닉스 반도체 계약학과(고려대·한양대·서강대) 등이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 계약학과가 개설된 곳은 카이스트, 디지스트, 지스트, 유니스트도 있는데 정시 경쟁률과 추가 합격 인원을 공개하지 않아 이번 분석에서 제외됐다.

기업별로 보면 SK하이닉스 계약학과는 30명 모집에 60명이 추가 합격해 등록포기율이 200%에 달했다. 특히 한양대 반도체공학과는 정원(10명)의 3.6배인 36명이 등록을 포기해 가장 큰 이탈률(360%)을 보였다. 삼성전자 계약학과는 47명 모집에 78명이 추가 합격해 등록포기율이 166.0%를 기록했다.

주요 상위권 대학인 연세대와 고려대의 합격자 이탈도 컸다.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는 정원 25명에 65명이 등록을 포기했고, 고려대 반도체공학과는 정원(10명)과 같은 숫자인 10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입시 업계는 반도체 계약학과 합격자들이 의약학계열 혹은 서울대 이공계에 중복으로 합격해 이탈한 것으로 보고 있다. 장학금·취업 보장 등의 파격적인 혜택에도 불구하고 의약학계열의 선호도가 더 높았던 셈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올해는 의대 정원 확대로 중복 합격자들이 반도체 계약학과보다 의약학계열을 선호하는 현상이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며 "기업 경기 부진과 불확실성도 수험생들에게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 정시 최초 합격자 1차 등록은 오는 12일까지 진행된다. 추가 합격자는 13~19일 발표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