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이후 6년 간 경상북도 예산이 3조6천263억원(37.6%)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정부예산 증가율(31.4%)과 비교했을 때는 6.2%포인트(p), 전국 광역시·도 평균 증가율(32.3%) 보다는 4.3%p 높은 수치다.
16일 경북도에 따르면 2020년 9조6천355억원이던 예산(일반회계, 특별회계) 규모는 2025년 13조2천618억원으로 37.6%(3조6천263억원)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충남 경기 충북에 이어 전국 4위다.
분야별로는 교육 분야 예산이 3천869억원(358%) 늘었다. 지역혁신 중심대학 지원체계(RISE)사업 추진과 글로컬 대학 사업 전국 최다 선정 등의 성과로 풀이된다.
다음으로는 산업ᆞ에너지 분야가 뒤를 이었다. 국가 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 선정 및 국가산업단지 추가 지정에 따른 연계 사업추진으로 1천962억원(82.6%) 증가했다.
도가 역점 추진하는 저출생 극복 등 각족 신규 시책 추진 덕분에 보건 분야에서도 1천59억원(71.1%) 증가했으며, 환경 분야 4천282억원(68.7%)와 언전 분야에서도 3천579억원(59.0%)이 증가했다.
세입 예산에선 국세 세입 감소에 따른 지방교부세 총규모 감소 추세에도 2024년 특별교부세를 전년보다 88% 증가한 580억원 받았다. 또 2025년 보통교부세는 1조8천907억 원을 확보해 3년 연속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최다 성과를 거뒀다.
이와 함께 도는 각 부처별로 체계적인 공모사업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국고보조금 또한 6년 만에 2조2천716억원(46.7%)이 증가하는 성과를 냈다.

국고보조사업과 정부의 도내 직접 투자사업을 합산한 연도별 국가 투자예산 확보액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다. 도는 2022년 국가 투자예산 10조175억원을 확보해 최초로 10조원을 돌파한 이후 올해 11조8천677억원을 확보, 12조원 시대를 앞두고 있다.
앞으로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포항~영덕 간 고속도로 건설 등 대규모 SOC 사업과 신규 R&D 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어 향후 국가 투자예산 확보액이 더 늘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경북도의 설명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코로나19 이후 정부의 긴축재정에도 국가예산확보와 투자유치가 도민의 삶과 민생에 직결되는 최고의 복지란 생각으로 재정 확대에 최선을 다해왔다"며 "확보한 예산이 적시 적소에 쓰일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