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명의 사상자를 냈던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의 원인이었던 그라스울 패널이 여전히 건축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014년 2월17일 경주 마우나리조트에서는 폭설이 내려 무게를 이기지 못한 그라스울 패널 천장이 무너지면서 수련회 참가를 위해 이곳에 온 대학생 214명이 파묻혀 11명이 희생됐다.
대구경북녹색연합은 16일 "사고 이후 정부는 철골 구조강화 정책에만 신경 쓰고 근본 원인인 건축자재에 대한 문제개선은 전혀 하지 않았다. 현재도 화재 현장에서 공장 관계자나 화재진압을 위해 투입된 소방관들이 희생당한 사건들을 살펴보면 열에 녹아 그라스울패널이 붕괴한 상황들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습기가 반복적으로 침투한 후 마르면 그라스울의 형태가 변형 수축해 0.5mm 철판에 의존하는 패널 특성상 구조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유리섬유가 조각나 미세먼지로 호흡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이 없어야 하는 클린룸 건설 땐 사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연합은"그라스울은 유리섬유에 페놀 바인더(접착제)를 이용해 만든다. 페놀 바인더는 새집증후군의 원인물질인 1급 발암물질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한다. 불이 붙지 않고 화재에 강하다고 알려졌지만 화재시 1000도가 넘는 환경에서 그라스울은 녹아버린다. 제품설명에도 최대 사용온도를 300도~400도로 밝히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정부는 그라스울에 대한 실물화재 시험을 면제해 특혜 시비와 다른 건축자재와의 형평성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정부는 그라스울패널에 대한 전반적인 검증으로 붕괴 사고와 화재 사고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하고, 1급 발암물질 포름알데히드에 대한 대책도 반드시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