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장애 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턱이 무너지면 안면비대칭, 위아랫니가 안닿는 개교증으로 일상생활이 힘들어진다. 우리 몸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뇌에 신호를 보내 근육을 수축하는 신경 물질을 분비한다. 턱 근육이 수축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뇌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이를 갈거나 악물라고 명령한다. 지속적으로 턱에 힘이 가해지면 턱관절과 근육에 무리가 오면서, 인대에 염증이 생기거나, 디스크가 빠져 턱관절이 손상된다. 긴장될 때 껌을 씹거나 초조할 때 손톱을 물어뜯는 것도 턱에 해로운 행동들이다.
턱교정 수술은 1, 2mm의 오차도 허용되지 않는 정교한 수술로 턱 주변 신경이 손상될 수 있어 난이도가 높은 수술이지만, 3D 가상수술을 통해 수술 후 변화를 예측해 정교한 수술이 가능해졌다.
평소 스트레스 받을 때 얼마나 이를 악무는지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얼굴에 힘을 빼고 N 발음을 하듯이 혀를 입천장 앞에 넓게 붙여서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게 좋다. 또한 턱에 통증이 오면, 초기에 이갈이를 방지하고 치아 교합을 바르게 교정하기 위해 스플린트로 치료해야 턱이 무너지는 걸 막을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이재명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
文뇌물죄 기소에 "부동산 정책 실패하고 사위엔 특혜?" 국힘 일갈
안철수 "한덕수는 출마 포기, 김문수·한동훈은 결단해야"
文, 뇌물죄 기소에 "터무니없고 황당…尹 탄핵에 대한 보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