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대구 중구 동인동물병원에서 덫에 걸린 멸종위기 야생동물 '담비'의 구조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 살로 추정되는 담비는 이날 오후 팔공산 국립공원에서 밀렵꾼이 설치한 덫에 걸린 채 발견돼, 소방당국에 의해 구조됐다. 대구지방환경청 자연환경과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 3월까지 대구·경북 지역에서 수거된 덫, 올무 등 불법 엽구는 총 260점에 달해, 밀렵 조직이 여전히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동학 동인동물병원장은 "구조된 담비는 상처 부위의 손상이 심해 절단 수술을 진행했으며, 이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로 이송돼 재활 치료를 받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지난 24일 대구 중구 동인동물병원에서 덫에 걸린 멸종위기 야생동물 '담비'의 구조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 살로 추정되는 담비는 이날 오후 팔공산 국립공원에서 밀렵꾼이 설치한 덫에 걸린 채 발견돼, 소방당국에 의해 구조됐다. 대구지방환경청 자연환경과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 3월까지 대구·경북 지역에서 수거된 덫, 올무 등 불법 엽구는 총 260점에 달해, 밀렵 조직이 여전히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동학 동인동물병원장은 "구조된 담비는 상처 부위의 손상이 심해 절단 수술을 진행했으며, 이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로 이송돼 재활 치료를 받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지난 24일 대구 중구 동인동물병원에서 덫에 걸린 멸종위기 야생동물 '담비'의 구조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 살로 추정되는 담비는 이날 오후 팔공산 국립공원에서 밀렵꾼이 설치한 덫에 걸린 채 발견돼, 소방당국에 의해 구조됐다. 대구지방환경청 자연환경과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 3월까지 대구·경북 지역에서 수거된 덫, 올무 등 불법 엽구는 총 260점에 달해, 밀렵 조직이 여전히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동학 동인동물병원장은 "구조된 담비는 상처 부위의 손상이 심해 절단 수술을 진행했으며, 이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로 이송돼 재활 치료를 받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