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벽이 전부 삼나무 판자로 된 집은 아버지가 남기신 유산이다. 은기철 씨는 은퇴 후 낡은 적산가옥을 고쳐 아내와 함께 산다.
1932년 일본인 금융조합장 사택으로 지어졌던 집을 1976년 당시 양조장 사업을 하셨던 아버지가 구입했다. 아내에게도 이 집은 각별하다. 신혼 시절 시부모님과의 애틋한 추억이 집안 구석구석 가득하다. 옛 우물부터 시어머니가 혼수로 가져오신 장롱, 마루에 보일러를 깔기 위해 뜯어냈던 나무 판자 한 장까지도 버리지 않고 귀히 여겼다. 낡은 가옥의 추억은 자손들에게도 대물림 되고 있다.
한편 은퇴하면 고향마을 시골집에서 사는 것이 꿈이었다는 홍재열 씨는 2년간 무려 100여 채의 한옥을 보러 다닌 끝에 고향집과 꼭 닮은 집을 발견, 첫눈에 반해 그날로 계약했다. 아내 역시 어릴 적 살았던 옛 한옥의 정취를 잊지 못해 생활에 편리하게 고치면서도 한옥의 분위기를 오롯이 지키고 싶었다.
원래는 일자형이었다는 이 한옥이 고치는 과정에서 디귿자가 되었다는데, 옛 분위기를 지킨다면서 굳이 디귿자로 고치게 된 사연은 또 무엇일까? 디귿자 한옥과 그 옛집에서 남은 생을 보낼 거라는 부부의 사연을 탐구해본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러시아제 소총 반입 제보받아…'이재명 테러' 철저 대비"
김무성 단식 중단…"후보 교체 비민주적, 동의 못해"
국힘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한덕수 입당 및 후보등록 진행"
한덕수 전 총리, 국민의힘 전격 입당…"대한민국 기적 끝나선 안 돼"
김문수 "야밤에 정치 쿠데타…법적조치 즉시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