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가 정부의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에 실패했다. 경북도와 경주시가 감포읍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유휴부지 내세워 유치에 나섰지만 지진 발생 전력에 발목이 잡히면서 전남 나주에 밀렸다.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따르면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부지를 공모한 결과 나주시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과기정통부는 다음 달 3일까지 이의 신청 기간을 거친 뒤 최종적으로 부지를 확정할 예정이다.
핵융합 연구는 바닷물에서 얻을 수 있는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연료로 삼아 태양 내부의 에너지 생성 원리를 지구에 구현하는 게 목표다. 이론적으로는 핵융합 연료인 수소 1g으로 석유 8톤(t)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아 고효율·친환경 에너지로 꼽힌다.
이번 부지 공모에는 나주시와 전북 군산시, 경북 경주시가 도전했다. 기본 요건(40점), 입지 조건(50점), 정책 부합성(10점) 등 3가지 항목으로 평가가 이뤄졌다. 나주시는 입지 조건과 주민 수용성, 산학연 집적 환경의 강점을 내세웠다.
후보지인 나주시 왕곡면 에너지 국가산단에 공모 조건인 50만㎡의 2배가 넘는 100만㎡ 이상의 편평한 부지를 제공할 수 있고 4차선 이상 진입로 확보도 문제없다고 밝혔다.
특히 일대 지반이 단단한 화강암이고 지난 50년간 지진 등 자연재해가 전무했던 점을 강조했다. 여기에 한전 본사, 670여 개 전력 기자재 기업, 한국에너지공대(켄텍) 등 인프라 집적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경주시는 원전 운영 경험, 중저준위 방폐장, 연구 인프라 등에서 강점을 내세웠다.
하지만 평가의 핵심인 입지 조건(50점)에서 '지진 및 활성단층 안전성' 항목이 경주에 불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경주는 지난 2016년 규모 5.8 지진 경험이 있어 평가위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지진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돼 불리했다는 분석이다.
경주시 관계자는 "평가 기준에 지진 발생 횟수를 비중 있게 넣은 것이 경주를 배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앞서 주낙영 경주시장은 유치신청서를 제출한 직후인 지난 17일 자신의 SNS에 정부가 평가기준에 '지진으로부터 안전성'을 넣은 데 대해 강한 의문을 제기하는 글을 게시한 바 있다.
주 시장은 "찜찜한 것은 정부가 이미 특정 지역으로 후보지를 정해 놓고 들러리를 세우려 한다는 소문이 있다"며 "선정 평가기준에 지진발생 횟수를 비중 있게 넣은 것은 아예 경주를 배제하려는 합리적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치적 고려 없이 과학적, 객관적 기준에 따라 합리적으로 결정되길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평가 항목이 지질 안정성 쪽으로 민감하게 설계되면 경주에 불리할 수 있다는 우려가 결국 현실이 됐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오세훈 세운상가 재개발 지지" 여권 종묘 뷰 비판엔 "덕수궁 앞 플라자호텔도 철거해야"
이 대통령, 남아공 동포들에 "또 계엄할까 걱정 않도록 최선"
가덕도 입찰 재개하는데…대구경북신공항 운명은?
한라산에서도 중국인 대변 테러…"하산하다 토할 뻔"
"尹, 국정원 업무보고 자리서 폭탄주에 취해 업혀 나왔다…테이블마다 '소폭'말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