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기가 어디라고"…안창호 인권위원장 5·18 기념식 불참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 민주의문 앞에서 시민들의 항의를 받은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이 경호를 받으며 돌아가고 있다. 연합뉴스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 민주의문 앞에서 시민들의 항의를 받은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이 경호를 받으며 돌아가고 있다. 연합뉴스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이 광주 시민들의 항의를 받아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불참했다.

18일 오전 9시35분 안 위원장은 5·18민중항쟁 45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 들렀다.

차에서 내린 안 위원장은 경찰 20여명에 둘러싸인 채 민주의문을 향해 발걸음을 옮겼다. 앞서 일부 5·18단체가 항의 집회를 예고하자 안 위원장은 경찰에 신변보호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민들과 일부 5·18 단체는 안 위원장이 민주묘지 초입인 민주의문 앞에 도착한 직후 '사퇴하라'는 내용의 손팻말을 들고 "여기가 어디라고 오냐"고 소리쳤다.

일부 시민은 안 위원장에게 다가가려 했으나 경호 인력에 가로막혀 돌발 상황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국 안 위원장은 묘역 입구에 설치된 검색대를 통과하지 못하고 물러섰다. 민주의문 밖으로 나온 후에도 시민들의 항의는 이어졌고, 일부 시민들은 안 위원장을 향해 "기념식에 참석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안 위원장은 입장을 말해달라는 기자 질의에 "시끄러워서 아무런 말도 할 수 없다"고 말하며 민주묘지를 떠났다.

오월어머니집과 5·18서울기념사업회는 지난 16일 성명을 발표해 "안 위원장은 민주주의와 인권의 상징인 5·18기념식에 참석할 자격이 없다"며 "위헌적 12·3 비상계엄에 침묵하고 내란 우두머리를 옹호한 내란 공범"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안 위원장은 내란수괴 윤석열 탄핵 심판과 관련 수사에 대해 방어권 보장 등 안건을 상정하고 수사기관에 체포·구속영장 청구를 하지 않을 것을 권고하는 등 인권위 권한을 남용, 고발당했다"며 "안 위원장은 5·18과 비상계엄에 대해 반성과 사과의 모습을 단 한 번도 보여주지 않았다. 5월 영령에 참배할 자격이 없다"고 꼬집었다.

인권위는 2월10일 제2차 전원위원회에서 윤 전 대통령의 방어권 보장 등을 담은 '계엄 선포로 야기된 국가적 위기 극복 대책 권고의 건'을 일부 수정 의결하며 안 위원장 등 일부 위원은 내란에 동조했다고 비판받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