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해상 전력 보강으로 '보복 핵 공격'(second strike) 능력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북한의 5천t급 구축함 진수 실패 사고 등을 소개하며 보복 핵 공격 능력 확보가 목적일 거라고 풀이했다. WSJ는 그러면서 "세계에서 가장 심하게 정보가 억압되는 사회 중 하나인 북한에서 구축함 진수 실패를 공개한 것은 김정은이 해군 전력 증강을 얼마나 긴요한 것으로 보는지 잘 보여준다"고 논평했다.
북한 해군은 지난달 25일 남포조선소에서 길이 144m, 5천t급 신형 다목적 구축함 '최현'호(號) 진수에 성공한 바 있다. 그러나 이달 21일 청진조선소에서 있은 비슷한 규모의 구축함 진수 과정에서는 황당한 사고가 있었다. 함수와 함미의 이동 중 불균형으로 함미 부분만 바다로 미끄러져 구축함이 파손된 것이다.
북한 관영매체들은 이례적으로 사고 이튿날인 22일 관련 기사를 싣고 응당한 문책이 있을 거라고 보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진수식 사고를 범죄 행위에 비유하면서 "우리 국가의 존위와 자존심을 한순간에 추락시킨 것"이라며 "절대적 부주의, 무책임, 비과학적 경험주의"라고 강도 높게 꼬집었다.
WSJ는 북한 해군의 현실을 소개하며 전력 현대화 시도 소개를 이어갔다. 특히 우리 군의 북한군 평가를 인용해 북한 해군의 실전 능력을 소개했다. 북한 해군은 외형상 병력 6만명, 전함 420척, 잠수함 70척을 갖췄지만 실제로는 해안 경비대 수준이라는 전력 평가다. 더구나 함정이 노후하고 무기 시스템도 구식이라 작전 능력이 제한돼 있다는 것이다.
WSJ에 따르면 북한이 '최현'호 등 현대식 전함을 잇따라 공개한 것은 해군 전력 강화 의지로 읽힌다. 해안 경비대 수준이라 평가받는 옛 소련 시절 구형 전함들을 대체하겠다는 것이다. '최현'호만 해도 수직발사장치(VLS)를 갖춘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대공·대함·대잠·탄도미사일 요격용 미사일과 지상공격용 순항미사일(LACM), 전술 탄도미사일 등을 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미 미국 본토 타격이 가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핵무기를 보유한 만큼 이를 보강하기 위해 해군 전력 증강을 통한 '보복 핵 공격' 능력 확보에 나선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내부 기강 잡기에 고삐를 당겼다. 21일 구축함 진수식을 엉망으로 만든 책임을 물어 강정철 청진조선소 기사장 등 실무급 간부들을 구속했다고 북한 관영매체들이 25일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과학관 내부 성범죄 묵인…'재워주겠다' 발언에 신체 접촉까지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1차 시한' 넘겨…앞으로 지지율이 변수
국방부 "주한미군 4500명 이동 배치, 韓美 논의사항 전혀 없어"
유시민 "이재명의 호텔 경제학? 대학원 수준 공부 없이 소화하기 어려워"
서문시장 온 설난영 "심장 팔짝팔짝 뛰는 대구 되려면 김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