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형 산불 상흔, 복구 시동…청송군, 산불피해지 복구 기본계획 착수

산불 피해 규모 및 복구 대상 확정
체계적 조사·계획 수립 절차
주민 참여 기반 맞춤형 복구 방안

청송군은 30일 군청 제1회의실에서
청송군은 30일 군청 제1회의실에서 '2025년 청송군 산불피해지 산림복구 기본계획' 착수보고회를 열고 체계적인 복구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청송군 제공

청송군이 지난 3월 발생한 초대형 산불로 인한 대규모 산림 피해에 대한 본격적인 복구 작업에 들어갔다.

청송군은 30일 군청 제1회의실에서 '2025년 청송군 산불피해지 산림복구 기본계획' 착수보고회를 열고 체계적인 복구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이번 복구 기본계획은 지난 3월 25일 의성에서 청송으로 번진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산림 2만655㏊ 가운데 국립공원 구역 등을 제외한 1만7천30㏊를 대상으로 한다. 군은 산림조합중앙회와 계약을 체결하고 2026년 4월까지 세부 계획 수립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산불 피해 현황을 비롯해 정부의 복구 지침, 세부 조사 일정, 향후 추진 방향 등이 공유됐다. 특히 생태계 복원과 산림소득 창출, 재해 예방 등이 균형 있게 이뤄지도록 다양한 의견 수렴 절차도 병행된다.

향후 청송군은 실태조사 이후 지역 주민과 산주를 대상으로 주민설명회를 열고 의견을 반영해 계획의 실효성을 높일 예정이다. 또한 지자체와 학계, 지역 임업단체, 주민 등으로 구성된 지역협의회를 통해 계획 수립 전 과정에 전문가와 주민이 직접 참여한다.

청송군은 피해 강도와 지형, 식생 등 지역별 특성을 반영해 자연복원과 인공복구를 병행하는 '맞춤형 복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이번 복구계획은 단순한 피해 복구를 넘어 산림의 기능 회복과 지역사회와의 조화로운 공존을 지향한다"며 "면밀하고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청송의 산림이 다시 살아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청송군은 30일 군청 제1회의실에서
청송군은 30일 군청 제1회의실에서 '2025년 청송군 산불피해지 산림복구 기본계획' 착수보고회를 열고 체계적인 복구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청송군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