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하천 곳곳에서 다슬기를 채취하려다 생명을 잃는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소방당국은 구명조끼 착용 등 기본적 안전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3일 경북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1일 오후 4시 20분쯤 문경시 농아면 내서리 하천에서 70대 남성 A씨가 발을 헛디뎌 익사했다. A씨는 다슬기 채취 중 물에 빠진 배우자를 구하려다 이 같은 변을 당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달 27일 오후 1시 40분쯤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하천에서도 60대 B씨가 다슬기 채취 중 실종됐다가 30여분 만에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지난달 28일에는 영천시 대창면 하천에서 다슬기를 채취하던 70대 남성이 심정지 상태로 발견되는 등 최근 다슬기 채취 관련 사망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다슬기 관련 수난사고 구조 활동은 총 14건으로, 이 중 3명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됐다.
다슬기는 마을 인근 하천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어 많은 이들이 찾는 여름철 수산물이다. 하지만, 얕아 보이는 하천이지만 급류에 휩쓸리거나 깊은 웅덩이, 미끄러운 바위·이끼 등으로 인해 예측 불가능한 수난 사고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
특히, 큰 다슬기 채취를 위해 깊은 곳까지 무리하게 잠수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또 야행성인 다슬기 특성상 어두운 밤에 채취에 나서는 사례도 빈번해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경북소방본부는 사고 예방을 위해 다슬기 채취 시 ▷구명조끼 착용 ▷야간채취 자제 ▷음주 후 채취 절대 금지 등 기본적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성열 경북소방본부장은 "잔잔한 물처럼 보여도 순간적으로 수심이 깊어질 수 있고, 물살이 센 곳에서는 급류에 휠말릴 수 있다"며 "돌발상황에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워 사소한 부주의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반드시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진성준 제명 국회청원 등장…대주주 양도세 기준 하향 반대 청원은 벌써 국회행
농식품장관 "쌀·소고기 추가 개방 없어…발표한 내용 그대로"
김건희특검, 尹 체포영장 집행 무산…"완강 거부"
조경태 "당 대표 되면 李대통령과 산업부 대구 이전 본격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