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국내 도로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54조5천95억원에 달해 전년보다 23.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와 경북의 교통사고 비용은 각각 2조2천445억원, 2조8천716억원으로 전국에서 4, 5번째 규모를 기록했다.
한국교통연구원이 4일 발표한 '2023년 도로교통사고비용'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도로교통사고비용은 같은 해 국내총생산(GDP)의 2.25%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는 미국(1.63%), 호주(1.57%), 영국(0.98%), 독일(0.79%) 등 주요 선진국보다 높은 수준이다.
2023년 전국에서는 125만2천433건의 도로교통사고가 발생해 2천551명이 숨지고 194만2천544명이 다쳤다. 사고건수와 사상자수는 전년보다 각각 0.7%, 0.1% 늘었다.
교통사고비용이 전년보다 23.5%나 급증한 것은 사상자와 가족의 신체적·정신적 고통비용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회적 자산손실과 소득손실, 의료비용, 재산손실 등은 24조7천603억원이었고, 사상자와 가족의 고통비용은 29조2천992억원으로 추정됐다.
연구원은 2023년부터 고통비용을 산정할 때 사상자 본인뿐 아니라 가족의 고통도 함께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연구결과 교통사고 사망자와 중상자가 겪는 신체적·정신적 고통의 크기가 10년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0조9천15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6조 5천88억원), 경남(3조2천890억원), 대구(2조2천445억원), 경북(2조8천716억원) 등의 순을 보였다.
인구 1인당 도로교통사고비용은 충북이 124만3천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충남(117만1천원), 경북(112만4천원), 대구(94만5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전국 평균(87만6천원)보다 7만원, 경북은 24만8천원 가량 높았다.
대구에서는 6만4천288건의 사고가 발생했고, 경북에서는 6만1천355건이 일어났다. 두 지역 모두 전국 평균보다 사고 규모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교통사고 원인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운전자 과실이지만, 사고에 대한 책임을 운전자에게만 묻는 것은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며 "차량요인과 도로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어 "네덜란드와 스웨덴이 도입한 안전체계(Safe System) 개념을 통해 사람과 시스템이 위험을 분담할 때 교통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며 "차량보다 사람을 우선하는 교통안전문화 정착과 중앙정부-지자체 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진성준 제명 국회청원 등장…대주주 양도세 기준 하향 반대 청원은 벌써 국회행
국힘 당권주자들, 후보 등록 후 '찬탄'도 '반탄'도 나란히 TK로
진성준 "주식시장 안무너진다"…'대주주 기준' 재검토 반대
농식품장관 "쌀·소고기 추가 개방 없어…발표한 내용 그대로"
[인터뷰] 주호영 국회부의장 "절박감·전투력 없는 국힘, 민주당에 못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