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5조7천679억원 중 46%가 지급 2주 만에 쓰이며 생활 밀착 업종을 중심으로 매출 증가를 이끌고 있다. 특히 연 매출 30억원 이하 영세·중소사업장에서 매출 증가 효과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7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이후 음식점, 마트, 의류·잡화 중심으로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3일 24시 기준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소비쿠폰 5조7천679억원 중 2조6천518억원(46.0%)이 쓰였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대중음식점에서 1조989억원(41.4%)으로 가장 많이 쓰였다. 이어 마트·식료품 4천77억원(15.4%), 편의점 2천579억원(9.7%), 병원·약국 2천148억원(8.1%), 의류·잡화 1천60억원(4.0%), 학원 1천6억원(3.8%) 순이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8개 카드사에서 받은 자료를 봐도 소비쿠폰 지급 다음날(7월 22일)부터 1주일간 카드 결제액은 14조8천413억원으로 전주보다 12.9% 늘었다.
연 매출 30억원을 기준으로 보면 식당·편의점·커피전문점·병원·학원·주유소·안경점 등 7개 업종에서 연 매출 30억원 이하 가맹점 매출은 2조1천485억원에서 2조3천346억원으로 8.7% 증가했다. 같은 업종에서 연 매출 30억원 초과 가맹점 매출은 4.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주요 업종별로 보면 식당의 경우 연 매출 30억원 이하 식당에서 7.1%, 연 매출 30억원 초과 식당에서 5.7% 각각 매출이 늘어났다. 편의점도 연 매출 30억원 이하 점포의 매출 증가율이 7.7%로 대형 편의점(5.6%)보다 높았다.
이 밖에 커피전문점(각각 10.4%, 8.4%), 주유소(각각 11.5%, 6.7%), 안경점(각각 40.7%, 23.1%) 등에서도 연 매출 30억원 이하 가맹점이 대형 가맹점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난달 4주(21~27일) 가맹점 전체 매출액은 같은 달 3주(14~20일)보다 19.5% 증가했다.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도 5.5% 늘었다.
반면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는 대형마트는 타격을 받았다. 대형마트 중 연 매출 30억원을 초과하는 점포 매출은 전주보다 2.6% 줄었고, 연 매출 30억원 이하 점포 매출도 10.6% 감소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소상공인 매출 증가와 국민들의 소비심리 개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앞으로도 경기회복에 마중물 효과가 지속되고 민생경제가 개선되도록 소비쿠폰의 신속 소비와 추가 소비 진작대책도 마련해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 기어이 국민 역린 건드리나"…조국 특사명단 포함에 野반발
"땡전 뉴스 듣고 싶나"…野 신동욱, 7시간 반 '필리버스터'
[매일희평] 책임지지 않는 무한 리더십
김계리 "尹, 당뇨·경동맥협착·심장병…치료 안받으면 실명 위험도"
[매일희평] 두통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