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가 EU(유럽연합)의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DPP) 제도에 대응해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디지털 제품 여권이란 모든 제품의 생산·유통·사용·폐기 등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공유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EU는 2027년부터 배터리를 시작으로 섬유·전자제품·철강 등으로 해당 제도를 확대 적용키로 했다.
8일 포항시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총괄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전담하는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공모사업'에서 부산시와 함께 최종 선정돼 국비 26억원을 확보했다.
해당 사업은 EU의 디지털 제품 여권 제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상호 운영이 가능한 한국형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포항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EU 제도에 호환 가능한 한국형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구축하고, 전기차 배터리 전주기 통합관리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주차·충전·안전서비스, 중고차 거래와 정비, 배터리 재제조·재사용·재활용 등 다양한 분야의 실증에 활용된다.
포항시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를 시작으로 양극재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2차전지 기회발전특구, 2차전지 글로벌 혁신파크 지정 등 핵심 국책사업과 더불어 14조원 규모의 배터리 관련 기업 투자가 이어지는 한국 대표 2차전지산업 도시로 떠오르고 잇다.
이러한 강점을 살려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를 갖춘 부산과 협업해 사업 추진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플랫폼 고도화 및 글로벌 표준화에 앞장선다는 전략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배터리 여권의 국제 표준화를 선도하고,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해 지속가능한 배터리 산업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 기어이 국민 역린 건드리나"…조국 특사명단 포함에 野반발
김문수, 전한길 토론회서 "尹 전 대통령 입당, 당연히 받아…사전투표 제도 없앨 것"
김계리 "尹, 당뇨·경동맥협착·심장병…치료 안받으면 실명 위험도"
[매일희평] 책임지지 않는 무한 리더십
정동영 통일부 장관 "남북, 두 국가일 수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