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보건복지부와 수련환경평가위원회가 집계한 2025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수련병원이 뽑기로 한 인원의 절반이 조금 넘는 수준의 인원이 선발됐다. 이로써 각 수련병원의 전공의 복귀율은 의정 갈등 이전의 76% 수준으로 회복됐다.
복지부와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전공의 모집에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 총 7천984명이 선발됐다. 각 수련병원이 뽑기로 한 인원(1만3천498명)의 59.1% 수준이다.
모집 인원 대비 선발 인원 비율을 연차별로 보면 인턴 52.0%, 레지던트 61.2%였다. 수도권 수련병원은 정원의 63.0%를 채웠으나, 비수도권은 53.5%로 절반을 조금 넘긴 수준이었다.
진료과목별로 살펴보면 '피안성'(피부과·안과·성형외과)의 하반기 선발 비율은 각각 89.9%, 91.9%, 89.4%로 90% 안팎을 기록했다.
이 밖에 영상의학과(91.5%), 정신건강의학과(93.5%), 마취통증의학과(90.7%)에서 선발 비율이 90%를 넘겼다.
반면 내과(64.9%)·외과(36.8%)·산부인과(48.2%)·소아청소년과(13.4%)·응급의학과(42.1%)·심장혈관흉부외과(21.9%) 등 필수의료 과목은 인기 과목에 비해 선발 비율이 턱없이 낮았다.
이번 하반기 선발 인원과 기존에 수련 중인 인원을 포함한 전체 전공의 규모는 총 1만305명으로, 예년(지난해 3월 기준 임용 대상자 1만3천531명) 대비 76.2% 수준을 회복했다.
예년 대비 전공의 규모 비율을 연차별로 보면 인턴 61.8%, 레지던트 80.4%다. 지역별 전공의 회복 수준은 수도권 수련병원이 77.2%, 비수도권 수련병원이 74.3%였다.
예년 대비 과목별 전공의 비율은 마취통증의학과(92.1%), 성형외과(91.1%), 안과·영상의학과(95.3%), 피부과(92.6%) 등에서 90%를 넘었고, 소아청소년과(59.7%), 외과(59.7%), 응급의학과(59.9%) 등에서는 60%에 못 미쳤다.
복지부는 상당수 사직 전공의가 수련 현장에 복귀함에 따라 의료체계가 안정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필요성도 다시 한번 확인된 만큼 관련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법정 의사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협)는 하반기 모집으로 전공의 대다수가 돌아온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제대로 된 수련을 위해 이제부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지역에는 희망이 없다고 판단한 전공의들이 많아서 비수도권 선발 비율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며 "흔히 말하는 필수의료, 핵심의료 과목들도 복귀율이 훨씬 낮은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교수들의 퇴직, 진료지원(PA) 간호사 투입 등으로 수련병원들의 교육 환경이 이전과는 많이 달라졌다"며 "정부는 현장에서 이어지고 있는 혼란을 빨리 정리해야 하고, 전공의 수련 관련 예산과 관심도 더 많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
李대통령 "할일 많은데 임기 4년 9개월밖에 안 남아"
무도회장 연상케 한 與 '한복행렬'…'상복'으로 맞선 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