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으로 전국에서 413만7천320그루가 감염되며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이 전체 피해의 45%를 차지해 가장 심각한 상황이다.
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선교 국민의힘 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2021~2025년)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감염 그루 수는 2021년 30만7천919그루에서 2023년 106만5천967그루로 급증했다. 지난해 89만9천17그루로 일시 감소했으나 올해 다시 148만6천338그루로 급증하며 최악의 피해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186만5천147그루로 전체의 45.1%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경남 89만8천168그루(21.7%), 울산 35만4천924그루(8.6%), 산림청 국유림 31만7천524그루(7.7%), 대구 18만6천733그루(4.5%) 순이었다.
피해 지역도 계속 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한 시·군·구는 2021년 131곳에서 올해 154곳으로 증가했다. 특히 피해가 극심한 지역은 2021년과 2022년에는 없었으나 올해 6곳으로 늘었다.
올해 기준 극심 지역은 경북 포항·경주·안동과 울산 울주군, 경남 밀양시·창녕군 등 6곳이다. 심각 지역은 대구 달성군과 경북 구미를 비롯해 울산 북구, 경기 양평군 등 4곳으로 조사됐다.
더 큰 문제는 인위적 확산이다. 최근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이 신규 발생하거나 재발생한 30곳 중 22곳이 인위적 확산에 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화목 유입 과정에서 감염목이 들어오면서 피해가 확산됐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재발생한 경북 울진의 경우 보유 땔감에서 매개충의 침입공과 탈출공이 다수 발견됐다.
정부는 최근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3천76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지만 피해는 오히려 늘고 있다.
김 의원은 "4천억원에 가까운 예산을 쓰고 있지만 피해가 계속 증가해 매우 안타깝다"며 "부주의에 의한 인위적 확산으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특별 단속을 강화해 우리의 소중한 산림이 훼손·파괴되지 않도록 정부는 철저한 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한동훈과 같이 못간다…해당 행위엔 강력 조치"
차진아 교수 작심 인터뷰 "수준 낮은 공청회…秋, 공직 자격 없어"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국민의힘, 美 '韓기업 이민단속'에 "700조 투자하고 뒤통수"
트럼프 "한국 배터리·조선 인력 불러들여 미국인 훈련시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