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인 제주 성산일출봉에서 낙석이 발생해 제주도 세계자연유산본부가 원인 조사에 나섰다.
16일 제주도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전날 밤 8시 43분쯤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성산일출봉에서 "무너지는 소리가 들린다"는 지나가던 행인의 신고가 접수됐다.
소방과 경찰로 구성된 대응단이 현장에서 확인한 결과 성산일출봉 등산로 서쪽 1㎞ 지점인 진지동굴 인근 접근금지 구역에 지름 70∼80㎝ 크기의 암반 2개와 나무 3그루가 굴러떨어진 것을 확인했다. 이 암반과 나무는 낙하지점 3m 위에서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낙석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경찰과 소방, 제주도 세계자연유산본부, 서귀포시는 해당구역에 일반인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조치했으며, 추가 낙석 가능성과 원인 등을 조사하고 있다.
낙석이 발생할 가능성은 이미 이틀 전 예고돼 있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지난 13일 오전 11시 산림청은 산사태 정보 시스템을 통해 기상청 강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사태 위험도를 측정,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지역에 산사태 예측 정보 주의보 단계가 생성됐음을 제주도에 통보했다.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2일 하루 성산 지역에 내린 일강수량은 210.3㎜로, 지점별 역대 9월 강수량 중 4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폭우로 인한 지반이 약해져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제주도는 산사태 경보 단계를 발령하지는 않았다.
산림청의 통보를 바탕으로 각 시·도 단위에서 위기 경보 단계(관심·주의·경계·심각산사태)를 발령하도록 돼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성산읍 지역은 광범위한 범위로, 우선 서귀포시에 관련 주의보 단계가 생성됐음을 알려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위기 경보 단계를 발령하지 않았다"며 "산사태는 산지가 일시로 붕괴되는 것을 의미한다. 성산일출봉은 가끔 낙석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성산일출봉 관람객 입장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자 국가자연유산인 성산일출봉은 해돋이 명소이자 제주의 절경 10가지를 일컫는 '영주십경' 중 제1경으로 꼽혀 관광객이 많이 찾는 명소다. 규모는 해발고도 179m, 비고 174m, 둘레 2천927m, 면적 453.030㎡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