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만찬 장소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라한호텔 대연회장으로 변경된 것을 두고 여러 뒷말이 나온다.
만찬장 변경으로 윤석열 정부가 경주를 APEC 개최지로 선정한 취지가 대폭 감소될 수밖에 없어 대구경북(TK) 정가에서는 '정권이 바뀐 현실이 실감이 난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23일 TK 정치권에 따르면 APEC 정상회의 개최지를 경주로 선정하고 만찬 장소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한 데는 '가장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전하자'는 윤 정부와 지역 정치권의 의중이 크게 반영됐다.
경주박물관은 신라 금관, 에밀레종 등이 있어 한국 문화의 정수를 세계 각국 정상들에게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장소로 꼽혔다. 새롭게 조성될 만찬장도 한국 전통의 미를 극대화한 한옥 형태로 설계됐다.
외교부 등 정부 측도 지난 6월 국회 APEC 지원 특위 회의에서 행사 한 달 전까지 차질 없이 만찬장 조성을 마치겠다는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하지만 새 정부 들어 플랜B를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정부, 여당 주변에서 끊이지 않았다.
결국 지난 19일 만찬 장소는 라한호텔 대연회장으로 전격 변경됐다. 이에 윤석열 정부가 경주에서 APEC을 개최하려던 의미는 크게 반감될 수밖에 없는 상태에 놓였다.
TK 정치권 안팎에서는 '새 정부가 전 정부가 짜놓은 취지와 계획에 수동적으로 얹혀가기보다 새 판을 짜 자신들의 성과로 끌어가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각국 정상의 만찬은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는 APEC 정상회의의 하이라이트로 꼽힌다. 이를 바꾼 건 결국 행사의 성격과 의미, 성과 평가에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건설 중인 만찬장에 화장실, 조리실이 없다는 등 준비 미흡이 크게 부각되는 것 역시 전 정부에 책임을 지우려는 의도가 엿보인다는 해석이 나온다.
과거 잼버리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국제행사 개최 후 벌어질 사후평가에 대비해 실수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쉬운 길'을 택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박물관 만찬을 추진해 얻을 효과보다 경호 편의 등 안정적으로 행사를 치르는 데 더 방점이 찍혔다는 얘기다.
새 정부가 무리를 해서 박물관 만찬 행사를 무사히 치르더라도 정치적 이득의 상당수는 경북도, 경주시 등 TK 정가와 나눌 수밖에 없는 현실도 무시할 수 없다는 반응도 나온다.
TK 정치권 관계자는 "만찬 장소가 전격 변경되고 준비 미흡의 타깃이 전 정부, 경북도 등을 향하는 걸 보자니 '지금 윤석열 정부였다면 이런 대우를 받았겠느냐'는 말이 나오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물론 TK 정가에선 대규모 국제행사를 무사히 치르는 데는 여야가 따로 없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지금은 책임 소재를 따질 게 아니라 행사의 성공 개최에 더 힘을 쏟아야 한다는 것이다.
TK 의원들이 다수 포함된 국회 APEC 지원 특위는 지난 22일 전체회의를 열고 '2025 경주 APEC 정상회의 성공개최 및 한반도 평화·번영을 위한 국회 결의안'을 여야 합의로 채택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찾은 장동혁 "TK 신공항·미분양 매입 적극 추진"
李대통령 "외국 군대 없으면 자주국방 불가능? 굴종적 사고"
사퇴 압박받는 조희대 "법은 통치수단 아닌 백성 삶 향상시키는 토대"
李대통령, "美 3천500억불 요구 수용시 금융위기 직면"
"사법 파괴 중단하라" 국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5년여 만에 장외투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