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한국의 미국 내 투자 프로젝트들이 비자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불확실한 상태에 머물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총리실은 "투자를 유보한다는 의미의 발언을 한 것은 아니다"라고 수습에 나섰다.
총리실은 25일 보도자료를 통해 "김 총리는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근로자들과 그 가족들이 미국 입국을 굉장히 꺼리는 상황임을 설명한 것"이라며 "투자를 유보한다는 의미의 발언을 한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김 총리의 발언은 현재 조지아주에서 진행 중인 투자와 관련된 것"이라며 "한미 간 논의되고 있는 3500억 달러 투자와는 무관한 내용"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이날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김 총리는 전날 서울에서 블룸버그와 한 인터뷰에서 "프로젝트가 완전히 중단되거나 공식적으로 보류된 것은 아니다"라면서 "비자 문제가 풀리기 전까지는 많은 인력이 미국에 신규 입국하거나 재입국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비자 문제가 지난 7월 무역협상에서 합의한 35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 펀드에도 불확실성을 드리우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 양국이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로 '비자 제도' 개선을 위해 협의 중인 것을 두고선 "그들의 안전에 대한 확실한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당사자와 가족들이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다시 미국에 들어가기를 꺼리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이날 오전 대전광역시당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관세 문제를 외교로 풀어야 할 책임자인 국무총리가 미국을 향해서 협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장 대표는 "이제 관세 협상이 제대로 되지 않자 반미 선동으로 태세를 전환한 것이 분명해 보인다"며 "비자 문제 그리고 통화스와프는 결국 대한민국 정부에 대한 신뢰의 문제"라고 했다.
최보윤 국민의힘 수석대변인도 논평에서 "김민석 총리가 비자 해결 없이는 미국 투자가 어렵다고 공언했다"며 "이는 단순한 외교적 문제가 아니라 사실상 한미동맹을 '인질'삼은 외교 포기 선언"이라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청래 "대통령도 갈아치우는 마당에 대법원장이 뭐라고?"
김민석 총리 "비자 문제 해결될 때까지 미국 투자 없다"
[단독] 中 때문에 결혼식 취소 신라호텔... 美 머물 하얏트는?
[단독] '尹나체 해부 묘사' 작품 건 봉산문화회관…구청장 지시에 전시회 직전 전시장 폐쇄
李 대통령, 체코와 정상회담…두코바니 원전 웨스팅하우스 논란 '무언급'